백악관, 또 '파월 해임' 언급…"美와 합의 못하면 8월1일 관세"(종합)

케빈 해싯 NEC 위원장, ABC 인터뷰
"Fed 건물 공사비 조사…이유 있다면 해임"
도이체 "파월 축출 즉시 美 달러·국채 투매"
관세 서한 협상용 질문엔 "8월1일 부과"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이 미 연방준비제도(Fed) 본부 건물 리모델링 비용 과다 사용 문제와 관련해 제롬 파월 Fed 의장을 향후 조사 결과에 따라 해임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월가에서는 백악관이 파월 의장 해임을 강행할 경우 미 달러화와 국채 투매 물량이 쏟아지는 등 시장 충격이 불가피하다는 경고가 나온다. 해싯 위원장은 아울러 다음 달 1일까지 무역 합의를 체결하지 못하는 국가들에는 고율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로이터연합뉴스

로이터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해싯 "Fed 건물 공사비 조사 중…이유 있다면 파월 해임"

해싯 위원장은 13일(현지시간) ABC 방송 '디스 위크'에 출연해 최근 백악관이 문제를 제기한 Fed 본부 건물 리모델링 예산 초과 사용과 관련해 파월 의장 해임이 가능하냐는 질문에 "대통령이 그 길을 강행할지는 러셀 보트(백악관 예산관리국장)가 Fed에 보낸 질문에 대한 (파월 의장의) 답변에 크게 달려 있다"고 답했다. 그는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이며 이유가 있다면 그(대통령)는 그렇게 할 것"이라고 말해 앞으로 조사 결과에 따라 파월 의장이 해임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쳤다.

앞서 보트 국장은 지난 10일 Fed가 본부 건물 리모델링 과정에서 당초 예산보다 7억달러나 많은 25달러를 사용했다며 파월 의장에게 해명을 요구하는 서한을 보냈다. 트럼프 대통령의 거듭된 기준금리 인하 요구에도 파월 의장이 관세발(發) 인플레이션을 우려해 거부하자 백악관이 그를 쫓아내기 위해 압박 수위를 전방위로 높이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파월 의장의 임기는 2026년 5월까지다.


이날 파월 의장 해임 가능성을 언급한 해싯 위원장은 공교롭게도 케빈 워시 전 Fed 이사와 함께 차기 Fed 의장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백악관의 노골적인 '파월 흔들기'를 놓고 월가에서는 통화당국의 독립성을 훼손할 경우 금융시장이 받을 충격을 과소평가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파월 의장이 해임되면 미 달러화 약세와 국채 매도 등 시장 혼란이 뒤따를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도이체방크 AG의 조지 사라벨로느 전략가는 "트럼프 대통령이 파월 의장을 강제로 축출한다면 24시간 내 무역가중환율 기준 달러 가치는 최소 3~4% 급락하고, 국채 매도로 인해 채권 금리는 30~40bp(1bp=0.01%포인트) 급등할 수 있다"며 "달러와 국채 모두 지속적인 위험 프리미엄이 붙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관세 서한 협상 전술 아냐…8월1일 관세 정말 부과"

EPA연합뉴스

EPA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해싯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주 한국을 비롯한 주요 교역국에 일제히 발송한 관세 서한에 대해 이는 단순한 협상용이 아니며 고율 관세가 실제로 부과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관세 서한이 협상 전술이냐는 질문에 "대통령이 보기에 충분히 좋은 합의가 아니라면 관세는 정말 부과될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대화는 계속되고 있다"며 "우리는 앞으로 어떻게 되는지 지켜볼 것"이라고 덧붙였다.


해싯 위원장은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유럽연합(EU), 멕시코, 캐나다 등에 새 관세율을 발표한 것과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하워드 러트닉(상무부 장관)과 무역팀이 협상한 일부 합의를 봤고, 합의가 더 나아져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EU와 멕시코에는 각각 30%, 캐나다에는 35%의 상호관세율을 책정하며 다음 달 1일부터 이를 발효하겠다고 밝혔다.


해싯 위원장은 브라질에 50%의 상호관세를 부과한 것과 관련해서는 "대통령은 브라질과의 협상과 그들의 행동에 불만이 많다"며 "보우소나루와 관련해 불만이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9일 브라질에 대한 관세율을 10%에서 50%로 인상한다고 통보하며 자신과 가까운 자이르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에 대한 재판을 멈춰야 한다고 주장해 내정 간섭 논란을 자초했다. 관세를 무역적자 해소 수단을 넘어 정치적 압박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해싯 위원장은 또 구리에 대한 품목별 관세 50% 부과와 관련해 "미국에 덤핑을 일삼은 국가들과 사람들이 이 관세의 대부분을 부담할 것"이라며 미국 기업들의 비용은 증가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뉴욕=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