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대학 증원에 반대해 집단 휴학 중인 의대생들이 전격적으로 수업 복귀를 선언하면서 수련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의 현장 복귀를 위한 논의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전공의 단체인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오후 5시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과 비공개 간담회를 열고 전공의 복귀와 수련환경 개선 등 의료 정상화 방안을 논의한다.
이날 간담회에는 국회 측에서 박주민 보건복지위원장과 민주당 소속 복지위 위원 등이, 전공의 측에서는 한성존 대전협 비대위원장과 비대위원들이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박 위원장과 한 비대위원장은 지난달 28일에도 비공개로 만나 장기화한 의정 갈등 해소를 위해 전공의 수련 재개율을 높여야 한다는 데 공감대를 이룬 것으로 전해졌다.
대전협은 간담회에 이어 오는 19일엔 임시 대의원총회를 열어 전공의들의 의견을 한데 모을 예정이다. 이미 지난달 '강경파'였던 박단 대전협 비대위원장이 물러나고 상대적으로 '온건파'인 한 비대위원장이 들어서면서 전공의들 사이에서는 수련 현장 복귀를 위한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대전협은 이달 초 전공의 8458명을 상대로 한 설문을 통해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와 의료개혁 실행방안 재검토 ▲입대 전공의 등에 대한 수련 연속성 보장 등의 복귀 선결 조건을 제시한 바 있다. 사직 전공의들은 이달 말 공고될 하반기 전공의 모집을 통해 각 병원에 복귀할 수 있는데, 차질 없는 복귀를 위해 입영 대기 상태인 전공의들의 입영 연기 조치 등을 요구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일단 이러한 특례 조치 등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면서도 전공의들의 요구안이 구체화하는 것을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의대생과 전공의가 모두 제자리로 돌아가면 1년6개월 가까이 장기화한 의정 갈등도 마침표를 찍게 된다. 다만 전공의들의 경우 이미 절반 이상이 다른 의료기관에 취업해 근무 중이거나 일부 수련을 포기한 이들도 있어 의대생들과 같은 '전원 복귀'가 이뤄지진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공의와 의대생의 복귀 길을 열어주는 과정에서 정부가 내놓을 조치들이 특혜 논란을 불러올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할 변수다. 앞서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김민석 국무총리와 의료단체들의 회동 이후 "정부가 전공의·의대생에게만 지속해서 특혜성 조치를 하려는 이유를 알 수 없다"며 "이는 먼저 돌아온 전공의·의대생에 대한 2차 가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