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구리 50% 관세 후폭풍…"정제 구리 포함" 관측

블룸버그통신, 복수 소식통 인용 보도

美구리 50% 관세 후폭풍…"정제 구리 포함" 관측 원본보기 아이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구리 수입품에 5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가운데, 관세 대상에 정제 구리가 포함될 것이라고 미국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12일 블룸버그통신은 익명의 복수 소식통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정제 구리는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금속 중 하나로, 현재 미국에 수입되는 구리 제품 중 가장 비중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통신은 관세 대상에 정제 구리가 포함될 경우, 전력망·건설·자동차 제조·소비자 전자제품 등 주요 산업 전반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면서 완성품 전 단계인 반제품 형태의 구리 제품 역시 이번 관세 대상에 포함될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일 내각 회의에서 구리에 50% 관세 부과를 예고했다. 이어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서 "강력한 국가 안보 평가를 받은 뒤 내린 결정"이라며 8월 1일 시행을 예고했다. 이는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구리를 국가 안보 차원에서 필수적인 전략적 물자로 판단하고 자국 내 생산을 장려한다는 입장이다. 그는 "구리는 반도체, 항공기, 선박, 탄약, 데이터센터, 리튬이온배터리, 레이더 시스템, 그리고 우리가 현재 많이 만들고 있는 극초음속 무기에 필수적"이라며 "미 국방부에서 두 번째로 많이 사용하는 재료"라고 강조했다.


백악관 관계자는 "해당 조치들은 아직 공식화되지 않았으며, 트럼프 대통령의 공식 발표 전까지는 최종안으로 간주해서는 안 된다"고 통신 측에 밝혔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의 구리 관세 조치는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압력을 높일 것으로 우려됐다. 미 공영방송 CBS는 구리 가격 급등으로 인한 소비자가 상승과 주택, 냉장고, 자동차, 에어컨 등 관련 제품의 연쇄적인 영향을 우려했다.


비영리 싱크탱크 경쟁기업연구소의 라이언 영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CBS에 "기업의 비용이 올라가면 소비자에게 전가된다"며 "결국 가전제품, 주택 수리, 구리가 들어가는 모든 것의 가격이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