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물가·가계부채 집중 점검…경제수장 청문회도 줄줄이

청년 고용 회복·가계부채 규제 효과 '주목'…수출입 물가·추경 효과도 평가

다음 주(7월14~18일)는 국내 고용지표와 물가지표가 발표되고, 새 정부의 경제 정책 방향을 가늠할 주요 인사청문회와 회의들이 줄줄이 예정돼 있어 주목된다. 청년층과 제조업 분야의 고용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부는 가계부채 규제의 실효성과 시장 반응을 집중 점검하고, 경기 부양을 위한 추가경정예산(추경) 효과도 분석할 계획이다.


고용·물가·가계부채 집중 점검…경제수장 청문회도 줄줄이 원본보기 아이콘

통계청은 오는 16일 '6월 고용동향'을 발표한다. 지난 5월 취업자 수는 25만5000명 증가하며 3개월 만에 20만 명대 회복세를 보였지만, 고용 개선이 고령층에 집중되고 청년층과 제조업 분야는 여전히 침체된 양상이다. 연령·업종별 고용 격차가 확대되는 상황에서 정부의 대응 전략이 주목된다.

같은 날 한국은행은 '6월 수출입물가지수 및 무역지수(잠정)'를 공개한다. 앞서 5월에는 국제유가와 환율 하락의 영향으로 수출·수입 물가가 1년 반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한 바 있다. 6월에는 중동 불안정성과 환율 변동성이 지수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지가 관전 포인트다.

고용·물가·가계부채 집중 점검…경제수장 청문회도 줄줄이 원본보기 아이콘

가계부채 관리 실태도 점검된다. 금융위원회는 18일 '가계부채 점검 회의'를 열고, 주택담보대출 규제 회피 사례와 사업자 대출의 용도 외 사용 등을 중심으로 실태를 점검하고 보완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최근에는 대출 한도 규제를 우회하려는 편법 거래가 늘고 있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한편, 17일에는 금융위 주최로 소상공인 금융 애로 해결을 위한 간담회가 열린다. 이 자리에는 정부, 유관기관, 소상공인, 전문가 등 50~60여 명이 참여해 현장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이는 이재명 대통령이 "빚진 소상공인의 목소리를 직접 반영하라"고 주문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기획재정부는 15일 'MSCI 선진시장지수 편입 TF'의 첫 회의를 열고, 민관 합동 로드맵 수립에 본격 착수한다. 이어 18일에는 최근 경기 흐름과 정부의 정책 대응 방향을 담은 '그린북'(최근 경제 동향)을 발표한다. 5~6월 집행된 추경의 효과성과 대외 변수로 인한 충격 대응 전략 등이 포함될 전망이다.

정책 수장의 면면도 공개된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는 17일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진행한다. 이재명 정부의 초대 경제사령탑으로서 구 후보자의 위기 대응 전략과 경제철학이 주요 질의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임광현 국세청장 후보자에 대한 청문회는 15일로 예정됐다.





이선애 경제금융부장 lsa@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