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혁신위원회가 11일 당 대표 리더십 강화를 위해 현행 최고위원제도를 폐지하고 '당 대표 단일지도체제'를 채택키로 했다. 전국 민심회의 신설과 취약 지역에 대한 상향식 비례대표 공천도 제안했다.
혁신위원인 호준석 국민의힘 대변인은 이날 중앙당사에서 2차 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재창당 수준으로 혁신하는 당 구조 혁신을 논의했다"며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혁신안을 발표했다.
혁신위는 현행 최고위원제도를 폐지하기로 했다. 호 대변인은 "최고위원회의를 통해 생중계로 싸우고 이전투구 모습 비친 애매했던 혼합형 지도체제가 끝난다"며 "당 대표가 확고한 리더십을 갖고 정책 역량을 쌓고 잘 싸우고 이기는 정당으로 가는 체제를 채택한다"고 설명했다.
대신 9명으로 구성되는 중앙당무회의를 신설한다. 매주 2차례 열리는 중앙당무회의에는 당 대표, 원내대표, 정책위의장, 사무총장, 수석대변인, 청년위원장, 여성위원장을 비롯해 당 대표가 지명하는 원외당협위원장 2명이 참석한다.
전국 민심회의를 신설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17개 시·도당 대표는 각 지역 당원들이 직접 투표로 선출할 방침이다. 의장은 당 대표가 맡고 매주 1회 회의를 진행한다. 전국 민심회의는 당헌 제23조의 상임전국위원회 기능을 행사하게 된다. 호 대변인은 "당헌 안을 작성하고 당규를 제정하고 개정할 수 있다"며 "전당대회 소집과 중앙당무위 회의 소집을 요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혁신위는 비례대표 후보 공천과 관련해 호남과 수도권 등 당세가 취약한 지역과 청년에 대한 할당을 대폭 늘리고 후보자를 지역별 당원투표로 결정하기로 했다. 예를 들어 경기도 비례대표 몫의 수가 확정되면 후보자를 공천관리위원회에서 일방적으로 결정하는 게 아니라 경기도당 당원 투표를 통해 확정하는 방식이다.
호 대변인은 이번 혁신안에 대해 "비대위에 보고될 것이고 비대위 의결을 통해, 만약 당원 투표에 부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는 것은 당원 투표에 부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