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트루스소셜에 공개한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 앞으로 보낸 관세 서한. 서한에는 8월1일부터 35% 상호관세율을 적용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트럼프 대통령 트루스소셜
원본보기 아이콘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8월 1일부터 캐나다산 제품에 3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캐나다 측에 공식 통보했다. 아직 미국과 무역협정을 체결하지 않은 국가 중 관세 서한을 받지 않은 나머지 국가들 모두가 관세를 부과받을 것이란 경고도 내놨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 앞으로 보낸 서한을 공개했다. 캐나다의 경우 멕시코와 더불어 에너지·자동차 부품 등 일부 품목을 제외한 수입품에 25%의 관세를 5월부터 적용받아왔는데, 이를 35%로 높인다는 의미다.
이는 품목별 관세와 별개이며, 제3국이 캐나다를 경유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환적 상품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환적 상품 규정은 이른바 '원산지 세탁'을 통해 미국의 대(對)중국 제재를 우회하는 중국 측을 겨냥한 조치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서한에서 35% 관세의 주된 이유로 캐나다가 미국으로의 펜타닐 유입을 막지 못했다는 점을 들었다. 그는 "캐나다의 실패로 마약이 미국으로 유입되고 있다"며 "미국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관세 조치를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고 밝혔다.
캐나다의 무역장벽과 농업 분야 관세에 대한 불만도 토로했다. 그는 "캐나다는 미국산 유제품에 최대 400%까지 관세를 부과하고 있는데, 이는 미국 낙농업자가 캐나다 시장에 접근하는 것조차 어렵게 만든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무역적자는 미국 경제뿐 아니라 국가안보에도 심각한 위협"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가 미국 제품에 대한 관세를 인상할 경우, 그 인상분만큼 미국도 35% 외에 추가로 보복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캐나다가 미국이 펜타닐 문제를 해결하는데 협조한다면 서한 내용의 변경을 검토해볼 수 있다"며 "관세는 양국 관계에 따라 바뀔 수 있다"고 덧붙였다.
캐나다 달러 가치는 관세 충격에 따른 우려로 하락했다. 10일 오후 9시7분 기준 미국 달러 대비 캐나다 달러 환율은 직전 1.3654캐나다달러에서 발표 직후 1.3731캐나다달러까지 치솟았다가 차츰 안정세를 되찾았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또 이날 미 NBC 방송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나머지 모든 국가는 15%든 20%든 관세를 내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기본 관세는 10%로 책정돼 있다. 이때 '나머지 국가'는 아직 서한을 받지 않은 국가를 말한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함께 추가 관세 부과 시 주식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를 일축했다. 그는 "관세 조치가 매우 호평받았다고 생각한다"며 "주식 시장이 오늘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덧붙였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