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덕 "日, 군함도 역사 알리겠다더니 10년째 약속 안 지켜"

"군함도, 국제 이슈로 키워야"

일본이 조선인 강제노역을 포함한 군함도(하시마)의 역사를 알리겠다고 약속했지만 10년째 지키지 않아 비판이 일고 있다.


군함도. 서경덕 교수 제공

군함도. 서경덕 교수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11일 보도자료를 통해 "한국 정부는 최근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제47차 회의에서 일본의 후속 조치 이행 상황을 평가하자는 제안을 했다"며 "국제사회의 공식 의제로 다뤄 심각성을 부각하려 한 것인데, 일본 정부는 한국과 논의할 양자 사안이라며 맞받아쳤다. 결국 초유의 한일 간 표 대결까지 벌인 끝에 아쉽게도 일본의 수정안이 과반수 찬성으로 채택됐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에는 이상할 만큼 일본 정부가 조용하다"며 "유네스코 투표 승리에 대해 일본 정부 부처가 나름의 외교 성과로 자랑할 만도 한데 입을 꾹 다물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일본 외무상은 물론 정부 대변인인 관방장관조차도 정례 브리핑에서 이번 유네스코 군함도에 관한 이야기를 꺼내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서 교수는 "이는 군함도 문제를 국제 사회에서 조용히 덮으려는 일본 정부의 전략"이라며 "우리는 군함도뿐만 아니라 사도광산까지 일본의 강제노역 역사를 국제사회에 더 적극적으로 알려야만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세계적인 여론이 형성된다면 일본 정부도 어쩔 수 없이 자신들의 과거사를 반드시 인정할 수밖에 없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