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연내 미국 시장에서 'AI 헬스코치' 서비스를 선보인다.
박헌수 삼성전자 MX사업부 디지털헬스팀장은 10일(현지시간) 뉴욕 브루클린에서 열린 '갤럭시 테크 포럼' 행사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병원과 의료체계를 애플리케이션(이하 앱),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항상 연계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AI 헬스코치는 '삼성 헬스' 앱을 통해 챗봇 형태로 제공된다. 사용자의 일상 건강 정보와 의료 데이터를 통합 분석해 맞춤형 헬스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건강에 이상이 감지되면 생성형 AI가 최적화된 코칭을 지원한다.
박 팀장은 "우선 미국 시장에서 출시해 다양한 피드백을 받을 계획"이라며 국내 출시 일정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 서비스는 건강 관리 보조 수단이란 점을 분명히 했다. 그는 AI 헬스코치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의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도하고, 건강에 경고 신호가 감지되면 리스크를 알려주는 수준"이라며 "정확한 진단과 치료의 영역은 아니다. 이는 전문의의 소견을 받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삼성 헬스 기능의 수익화도 검토 중이다. 박 팀장은 "현재 제공 중인 헬스 기능은 무료로 지원하되 향후 추가 기능이 출시되면 수익 정책이 결정될 것"이라며 "최근에 인수한 젤스를 통해 기업간거래(B2B) 시장에서 다양한 사업 모델이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가 지난 7일 인수한 젤스는 디지털 헬스 플랫폼이다. 의료진이 환자 상태를 종합적으로 확인하고 최적의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을 처방·추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젤스 플랫폼을 통해 웨어러블 기기에서 수집된 생체 데이터를 전문 의료 서비스와 연결하는 '커넥티드 케어'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이 삼성전자의 구상이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