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브버그 잠잠해지나 싶었는데…'해충' 미국흰불나방 온다

산림청, 발생 예보 '관심'→'주의' 상향
"기후 변화로 인한 세대 수 증가 때문"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10일 미국흰불나방 발생 예보를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상향했다고 밝혔다.


미국흰불나방 유충은 도심 가로수와 조경수 잎을 갉아 먹는 해충으로, 대량 발생 시 주민 생활에 불편을 끼치고 도시 경관을 훼손한다. 이 유충은 연간 2~3차례 발생한다. 미국흰불나방은 1958년 북미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며, 제주를 제외한 전국으로 확산했다.

미국흰불나방 성충

미국흰불나방 성충

원본보기 아이콘

국립산림과학원이 전국 32개 고정 조사구의 활엽수 1600그루에서 수집한 미국흰불나방 1세대(알에서 태어나 유충, 번데기 단계를 거쳐 성충이 된 후 다시 알을 낳기까지의 한 생애 주기 전체) 모니터링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에는 예년보다 2세대 유충 피해가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국립산림과학원은 1981년부터 고정 조사구를 운영하면서 매년 피해도를 조사 중이다.

올해 고정 조사구에서 관찰된 1세대 유충 피해율은 15.8%로 나타났으며, 2세대 유충 피해율은 26.9%로 예측됐다. 과거 2세대 유충 피해율은 2000년대 8.9%, 2010년대 6.7%로, 최근 들어 피해가 급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미국흰불나방으로 인한 피해 증가 원인은 기후변화에 따른 세대 수 증가로 추정된다. 특히 봄과 가을철 기온 상승으로 활동 기간이 길어지면서 3세대 발생 가능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름(8월)과 가을철(10월) 유충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2세대 유충 발생 초기인 7월 중순부터 8월 초까지 집중 예찰과 방제 조치가 필요하다.


김민중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연구사는 "미국흰불나방은 세대가 거듭될수록 개체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만큼 조기 예찰이 중요하다"며 "생활권에서 발생하는 산림 해충 관련 연구와 기술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