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대표 절반가량이 국내 여름휴가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가 10일 발표한 '중소기업·CEO 여름휴가 계획 조사'에 따르면 중소기업 CEO의 45%는 국내 여름휴가 계획이 있는 것(휴가 일수 3.6일)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27일부터 7월 3일까지 중소기업 CEO 3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휴가 형태는 '명소·휴양지 방문'이 54.8%로 가장 높았으며, '독서·사색 등 집에서 휴식(22.2%)' '레저·스포츠 활동(17.8%)' '고향·친지 방문(5.2%)' 순이었다. 국내 휴가를 계획하고 있는 이유는 '국내 휴가의 편의성(51.9%)' '내수살리기 동참(14.1%)' '비용 절감(14.1%)' '업무와 병행 가능(12.6%)' '문화적 피로도 없음(5.9%)'으로 조사됐다.
여름 휴가 계획이 없는 중소기업 CEO는 업무로 인해 휴가를 낼 수 없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이어 '연중 수시 휴가 사용으로 여름휴가 계획 없음(29.1%)' '경영상황 악화로 여력 없음(18.2%)' 등이 뒤를 이었다.
정부 민생회복 소비쿠폰 휴가지 활용 계획에 대해서는 86.6%가 긍정적('있다' 53.3%, '고려해보겠다' 33.3%)으로 응답했으며, '없다'는 응답은 13.3%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의 여름휴가 활성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는 '재정 지원(휴가비 지원 등)'이 64.3%로 가장 많았으며, '휴가사용 촉진 제도 등 제도 개선(22.7%)' '휴양시설 제공 등 인프라 지원(11.7%)'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은 "내수침체와 소비인구 감소로 지난해 소상공인이 100만명이 넘게 폐업할 정도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경제계는 물론 모든 국민이 가급적 올여름 국내 휴가를 지역 명소를 찾아 맛집에서 소비를 늘려 내수살리기에 동참해주길 기대한다"고 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