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둘러싸고 경상도 대구 출신의 이순열 세종시의원의 발언이 도마 위에 올랐다.
8일 새롬동 행복누림터에서 개최된 하반기 시민과의 대화 자리에서 이 의원은 "세종만 잘살게 된다면 예전에 서울특별시 일극 체제 시절의 부작용이 또 일어날 것"이라며 해수부 이전에 대해 찬성하는 듯한 발언을 해 논란이다. 특히 아직 미완성의 도시인 세종의 발전 동력을 지역 의원으로서 제한하는 듯한 반응을 세종지역 의원 신분으로 나타내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심지어 경상도 출신이기 때문이라는 조롱 섞인 말도 나오고 있다.
일요서울에 따르면 이 의원은 "세종시가 국토 균형 발전의 선도 도시인 것처럼 부산도 예전에 제2의 도시였다"며 "수도권 국회의원들이 세종시를 곱게 보지 않고 있다. 툭하면 세종시는 다 뭐 해달라 뭐 가져가고 이해 못 하는 의원들도 굉장히 많다. 세종만 잘살게 된다면 예전에 서울특별시가 일극 체제로 잘살게 되었을 때의 부작용이 또 일어난다고 말했다"고 9일 보도했다. 이 같은 발언은 비판의 대상이 되면서 의문점이 제기되는 이유기도 하다. 이 의원이 충청권이 아닌 경상권 출신인 데다가 지역의 이익과 지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우선시해야 하는 지방의회 지역 의원으로서 견해와 관점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특히 지난해 5월 이 의원이 의장이었을 당시 언론에 제공했던 보도자료가 재조명되고 있다.
당시, 이 의원은 "국무총리실이 세종에 설치돼 있는 만큼, 미이전된 직속위원회가 서울에 있을 필요가 없다. 금융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원자력안전위원회 세종으로 이전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이 의원은 "중앙부처와 공공기관이 대거 세종으로 옮긴 상황인데, 지리적 위치와 상징성 대통령실과의 물리적 거리를 우선 고려해 이전을 검토해야 한다는 논리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중앙부처가 대거 세종으로 내려온 상황에서 부처와의 업무 협의와 회의 지원, 신속한 정책 결정을 위해서라도 서울에 남겨둘 이유 없이 세종에 두는 게 맞다"며 "(미이전기관) 세종시 이전을 공론화 해야 한다"고 했다. 상황에 따라 주장이 바뀐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 의원은 금융위원회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원자력안전위원회를 비롯해 감사원 세종 이전과 공론화 과정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보도자료를 내면서 시민들로부터 박수를 받기도 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