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미 일정을 마치고 귀국한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9일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을 만나 조속한 한미 정상회담을 제안하는 한편 상호 호혜적인 합의를 만들어 나가자고 했고 루비오 장관은 이에 공감을 표했다고 밝혔다. 그는 한미 정상회담과 관련해서는 구체적인 시기와 일자는 나오지 않았고,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특별협정(SMA)을 제외한 방위비 전체에 대한 논의는 있었다고 전했다.
위 실장은 이날 상호 관세 협상과 정상회담 등 한미 양국 간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2박 4일 일정으로 미국 워싱턴 DC를 방문하고 이날 귀국했다. 그는 귀국 직후 브리핑을 통해 "루비오 장관과 한미 안보실장 협의를 갖고 심도 있는 협의를 가졌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위 실장은 이번 방미에서 앨리슨 후커 국무부 정무차관을 포함한 트럼프 행정부 실무자들과 접촉해 보다 구체적인 요구사항 등을 확인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위 실장은 "새 정부 출범 이후 한 달 남짓한 짧은 기간에 우리 정부가 현안 협의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고 설명했고, 양측이 현안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고 이를 조정하더라도 동맹 관계 발전과 신뢰 강화라는 큰 틀에서 타결을 위해 함께 노력하는 게 좋겠다고 강조했다"고 말했다.
초미의 관심사인 상호 관세 협상과 관련해서는 루비오 장관에게 투자, 구매, 안보 등을 종합해 협의하자고 제안했다고 밝혔다. 위 실장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서한은 관세·비관세 장벽을 중심으로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면서 "우리가 그동안 제기한 사안들은 통상이나 투자 구매, 안보 등 전반에 걸쳐 망라돼 있기 때문에 이런 패키지를 종합적으로 감안해 협의를 진전시키자고 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루비오 장관은 공감을 표시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서한'을 발송한 것과 관련해 위 실장은 "루비오 장관이 이번 서한은 7월 9일 관세 협상 시한을 앞두고 아직 무역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나라 모두에 일률적으로 발송된 것이라고 설명하고 8월 1일까지 합의를 위한 기회가 있는 만큼 소통을 한미 간에 긴밀하게 해나가자고 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위 실장의 미국 방문 기간 중인 7일(현지시간) '8월 1일부터 상호관세 25%를 부과하겠다'는 내용의 서한을 발송한 바 있다.
위 실장은 내달 1일까지 협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한미 정상회담 등과 관련해 어떤 대책이 있을 수 있느냐는 질문에 "다양한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고 그렇게 하고 있다"면서 "가장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것은 여러 채널에서 협의를 마무리 지어서 정상회담을 간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상회담은 포괄적으로 진행하면서 진전이 어떻게 되느냐와 관련돼 있다"면서 "가급적 조속히 하자는 공감대는 있지만, 8월 1일 이전이다 이후다라고 단정하지는 않고 있다. 진행 상황에 따라 조정하려고 한다"고 했다.
이번 방미 이후 정부의 목표를 어떻게 설정하고 있느냐는 질의에 위 실장은 "(협상 전략상) 말씀드리기 어렵다"면서 "어느 나라도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최선을 다해 궁극적으로는 관세를 없게 하는 것이고, 타협한다면 최소화하는 쪽으로 노력하겠다"고 답변했다.
한편 방위비 등 국방비 관련 논의는 미국이 보다 오래 끌어갈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위 실장은 "지금 통상 문제 협의하고, 안보 문제 협의가 있는데 안보 협의 중에는 국방비도 논의 대상 중 하나"라면서 "이 논의는 좀 길게 끌고 갈 가능성 있다"고 말했다. 현재 14개국에 파견할 특사단과 관련해서는 "여러나라와 수도에 보내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면서 "며칠 사이에 진전이 있을 수도 있다"고 답변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