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는 지난해 카카오 그룹의 생산유발효과가 19조1000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가 9조1000억원, 고용유발효과는 5만4000명으로 집계됐다고 9일 밝혔다.
이날 카카오는 지난해 카카오 그룹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결과와 올해 사회경제적 가치를 설명한 122개의 지표를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다.
카카오는 모바일 메신저를 시작으로 문화 콘텐츠, 금융, 모빌리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디지털 생태계를 구축해온 결과 최근 3년간 누적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51조4000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 24조5000억원, 고용유발효과 약 14만5000명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분석 결과는 김용규 한양대 경제학부 명예교수, 전현배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 한종희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의 자문과 감수를 받았다.
올해는 카카오 그룹의 사회경제적 가치를 객관적 수치로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분석 범위를 넓혔다. 지난해 10개사의 60개 지표에서 올해 11개사의 122개 지표로 분석 범위가 확대됐다.
카카오의 기부 플랫폼 '카카오같이가치'를 통해 조성된 누적 기부금은 지난 4월 기준 936억원이며, 모금 프로젝트 수는 1만9000개에 달했다.
임팩트 커머스 '카카오메이커스'를 통한 판로 지원으로 제값을 다한 농축수산물은 6859t에 달했고, '새가버치 프로젝트'를 통해 새활용된 물건은 912만개를 기록했다. 또 이모티콘 누적 발신 건수는 2800억건, 출시된 이모티콘 수는 70만개로 창작자 생태계 확대에 기여했다.
카카오 CA협의체 권대열 ESG위원회 위원장은 "카카오 그룹은 이번에 확인된 10가지 핵심 분야를 중심으로 사회경제적 가치를 더욱 확대해 나가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올해 발표된 경제적 파급효과와 사회경제적 기여 분석 지표는 카카오 기업사이트와 카카오 정책산업연구 브런치에서 확인할 수 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