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정 광주시장이 지난달 11일 광주실감콘텐츠큐브(GCC) VX스튜디오에서 열린 '2030 광주 인재양성전략 보고회'에 참석해 81만명의 인재 양성을 통한 광주발전을 다짐하는 공동 결의서에 서명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광주시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광주시가 이재명 정부 국정기획위원회의 인공지능(AI) 인재 양성 기조에 발맞춰 'AI 선도도시'로서 오는 2030년까지 AI·디지털, 반도체, 문화콘텐츠 등 지역 미래전략산업과 연계한 총 81만명의 인재양성을 목표로 박차를 가하고 있다.
9일 시에 따르면 기존 인재양성 정책에 더해 최근 로드맵을 제시한 '2030 인재양성 전략'을 중심으로 미래전략산업 인재양성 요람으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시는 지난달 11일 광주실감콘텐츠큐브(GCC) VX스튜디오에서 교육계, 경제단체, 산업계, 공공기관 등 87개 기관·단체와 함께 '2030 광주 인재양성전략 보고회'를 개최했다.
시는 보고회에서 '광주 미래를 밝히는 LIGHT 인재 양성'이라는 비전 아래 오는 2030년까지 AI·디지털, 반도체, 문화콘텐츠 산업기술 인재 35만명 양성과 미래교육도시 기반 확산을 위한 인재 46만명 등 81만명의 인재 육성을 로드맵으로 제시했다. '2030 인재양성 전략' 성공을 위한 지산학연 거버넌스 체계 강화 계획도 밝혔다.
지난 6일 전남대학교에서 열린 'AX미래전략산업 추진 간담회'에서는 산학협력 방안과 공동 대응 전략을 논의했다. 간담회에서는 AX실증, 미래모빌리티, 2차 전지, 메디헬스케어 등 주력산업과 대학 정책과제 등과의 연계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시는 특히 미래산업 대응을 위해 실질적인 인재양성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다. AI 기반 실무인재 양성을 위해 지난 2020년부터 AI 사관학교를 운영해 지난해까지 1,221명의 AI 인재를 배출했다. 올해 제6기 330명을 최종 선발해 7개월 간의 AI 전문가 교육을 진행 중이다.
또, 실감콘텐츠 기술인력과 실무현장에 바로 투입 가능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지난해부터 GCC사관학교를 운영, 지난해 11월 제1기 132명을 배출했고, 올해 제2기는 140명을 선발해 교육 중이다.
AI사관학교와 GCC사관학교를 졸업한 인재들의 AI·반도체 분야 유수기업으로의 취업이 속속 이어지는 등 긍정적인 반향이 나타나고 있다.
김기숙 교육청년국장은 "그동안 체계적인 인재 양성 정책을 통해 AI·콘텐츠 등 미래 전략산업 분야에서 실무 역량을 갖춘 전문 인재를 꾸준히 배출했다"며 "앞으로도 AI 선도도시 강점을 살려 현장 중심 맞춤형 교육과 지산학연 협력 모델을 고도화하고, 지역산업을 선도할 핵심 인재 양성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