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과 국방부가 산불진화 활동에 상호 협력을 강화한다.
산림청은 극한기상, 야간산불, 대형 산불 상황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국방부와 야간산불 화선 정보 공유 및 산불 진화자원 초기 투입 등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9일 밝혔다.
양 기관은 산불재난 상황이 곧 안보 상황이라는 공동의 인식으로, 대형 산불의 신속한 진화를 위해 산불 초기 단계부터 군자산이 현장에 적극적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국방부는 헬기 40여대를 즉각 투입 가능한 전력으로, 추가 가능한 헬기를 예비전력으로 사전에 편성할 계획이다. 또 군 헬기 조종사가 산불진화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물 투하 교육훈련을 실시하고, 산림청은 전문 교관을 지원해 실질적인 교육효과를 높일 복안이다.
앞서 산림청과 국방부는 영남 대형 산불 발생 이후 군 자산의 산불진화 활용 방안을 모색해 왔다. 실질적으로 지난 4월 24일 양 기관은 국장급 관계관이 참여하는 '官ㆍ軍 산불진화 협업을 위한 협의체'를 구성했다.
또 분야별 세부 추진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워킹그룹을 편성해 5월 9일~7월 2일 총 11회에 걸쳐 상호방문 회의와 토론, 공군 수송기 물탱크 장착을 위한 해당 부대 현장실사 등을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양 기관은 공군 수송기(C-130J)에 물탱크를 장착해 산불진화에 투입하는 공중진화시스템(MAFFS) 시범사업 추진과 극한 기상 상황에서 군 정보자산을 활용해 야간산불 화선 정보를 공유하는 데 합의했다.
이용권 산림청 산림재난통제관은 "산림청과 국방부의 협력 강화는 산불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범정부 차원의 통합관리 및 상호 지원의 모범사례"라고 말했다.
이갑수 국방부 군수관리관은 "군은 산불이 곧 재난 안보 상황임을 인식하고, 정부 차원의 재난 대응 능력 강화와 체계 개선을 위해 산림청과 협업 관계를 유지하겠다."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