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온다습한 '역대급' 폭염이 계속되면서 열사병, 열탈진 등 온열질환으로 응급실을 찾은 환자가 작년 같은 기간의 2배로 급증했다.
9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 7일 하루 전국 500여개 응급실을 찾은 온열질환자는 모두 98명이었다. 이에 따라 질병청이 지난 5월15일 온열질환 감시체계를 가동한 이래 누적 온열질환자는 총 977명으로, 1000명에 육박한다.
작년 감시 시작일인 5월20일부터의 수치만 보면 961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478명)보다 2배로 늘었다.
온열질환은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질환으로,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면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 저하 등의 증상을 보이고, 방치 시에는 생명이 위태로울 수도 있다.
올해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는 총 7명으로, 역시 지난해 같은 기간(3명)보다 2배 이상 많다. 8일 서울의 낮 기온이 37.7도까지 오르면서 기상 관측 이래 7월 상순 최고 기록을 고쳐 쓰는 등 6월 말부터 역대 최고 수준의 더위가 계속 이어지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아직 통계에 잡히진 않았지만, 7일 경북 구미의 한 아파트 공사장에서 베트남 국적 20대 하청 노동자가 숨지는 등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도 더 늘어날 것으로 우려된다.
올해 들어 현재까지 온열질환자 977명 중엔 남성이 75.9%다. 또 응급실 온열질환자 3명 중 1명(33.5%)은 65세 이상이었다. 직업은 단순 노무 종사자가 21.2%로 가장 많고, 발생 장소로는 작업장(25.9%), 논밭(16.3%), 길가(13.4%) 순이었다. 또 열탈진이 56.1%로 절반 이상이고, 열사병(20.4%), 열경련(12.8%), 열실신(9.2%), 열부종(0.2%) 순으로 뒤를 이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