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인형, 내란혐의 증인신문 포기…"크게 후회"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이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이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원본보기 아이콘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이 8일 열린 재판에서 '12·3 비상계엄' 당시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지시로 부하들을 국회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로 출동시킨 것을 두고 깊은 후회의 뜻을 밝혔다.


내란중요임무종사 등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는 여 전 사령관은 이날 서울 용산의 중앙지역군사법원에서 열린 공판에서 증인신문을 포기하겠다고 밝히며 이 같은 심정을 털어놨다.

그는 추가 구속영장이 발부된 사실을 언급하며 "국민과 재판부의 뜻이 무엇인지 새삼 깨달았다"며 "이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더 이상 사실을 둘러싼 증인신문은 무의미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고 말했다.


여 전 사령관은 "그 시절로 다시 돌아간다면 단호하게 군복을 벗겠다는 결단을 내려 지휘 체계에서 벗어났어야 했다고 깊이 후회한다"면서도 "계엄 선포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직업 군인으로서 무턱대고 옷을 벗는다는 것은 그 당시엔 판단하기 쉽지 않았다"고 회상했다.


이어 "지금 돌이켜보면 정말 크게 후회한다"며 "계엄 선포 이후 저의 판단과 행동이 책임에서 벗어났다고 생각해 본 적은 한 번도 없고 제 행위에 상응하는 온전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지금도 믿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재판부께서 계엄에 사전 동조하거나 준비한 사실이 없다는 저의 주장이 사실인지를 현명하게 판단해주시길 바란다"고 요청했다.





장효원 기자 specialjhw@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