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새 차 안 사는 이유?…"'공유'하면 된다는 인식"

2030, 신차 등록 점유율 10년 만에 최저
6070세대와 대조적…10년 만에 두 배

올해 상반기 2030세대의 신차 등록 점유율은 10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60대와 70대의 등록 점유율은 크게 상승하는 등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는데, 이는 6070 세대의 경제 활동이 지속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8일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20대의 승용 신차 등록 대수(개인 자가용 기준)는 총 2만9066대에 달했다. 이는 전체 승용 신차 등록 대수(51만1848대)의 5.7%에 불과하다. 20대의 신차 등록 점유율은 지난 10년간 꾸준히 하락 추세다. 2016년에는 8.8%에 달했으나 2022년에는 7.8%로 떨어졌고, 지난해엔 6.7%였다.

주차된 신차들의 모습. 사진은 기사 중 특정 표현과 관련 없음. 연합뉴스

주차된 신차들의 모습. 사진은 기사 중 특정 표현과 관련 없음.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이런 추세가 계속 이어진다면 올해 20대 신차 등록 점유율은 10년래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하게 될 전망이다.


30대의 신차 등록 점유율도 2016년 25.9%에서 10년 만에 6.4%포인트 하락했다. 30대의 신차 등록 점유율은 올해 최초로 20% 아래로 떨어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대조적으로 고령층인 6070 세대의 승용 신차 등록 대수, 점유율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기준 60대와 70대의 신차 등록 대수는 각각 9만2123대, 2만3010대다. 전체 연령대에서 차지하는 점유율은 각각 18.0%, 4.5%로 집계됐다.

60대의 신차 등록 점유율은 10년 전인 2016년 9.6%에 불과했으나, 올해 상반기 2배 가까이 확대됐다. 같은 기간 70대의 신차 등록 점유율도 2.8%에서 4%대 중반까지 올라섰다.


전문가들은 젊은 세대의 신차 등록 저조 배경으로 '공유문화 확산'을, 고령층의 등록 확대 이유로는 '이동권'을 꼽았다. 김필수 대림대 교수는 "2030세대의 신차 구매 감소 이유 중에는 경기 불황 외에도 공유 문화 확산으로 차량을 굳이 소유할 필요 없다는 인식도 있다"며 "6070세대는 최근 취업전선에 나서는 분들이 많은 만큼 이동권 확보를 위해 차가 필요한 면이 있다"고 전했다.





임주형 기자 skeppe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