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제1회 방위산업의 날'을 맞아 개최된 방산업계와 토론회에서 안보 변화에 맞춰 K-방산 제품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기업의 규모와 상관없이 참여할 수 있는 방위산업 생태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수출의 비중이 큰 방위산업의 특성을 고려해 정부 차원의 노력을 다하겠다고도 약속했다.
8일 이 대통령은 서울 용산구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방위산업의 날 토론회'를 갖고 이같이 밝혔다. 이날 토론회에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LIG넥스원 등 방산기업 대표 100여 명을 포함해 원준희 방산중소벤처기업협회장, 이건완 국방과학연구소장, 손재홍 국방기술진흥연구소장, 윤희성 한국수출입은행장 등이 참석했다. 정부에서는 석종건 방위사업청장, 이한주 국정기획위원장 등이 참석했고 대통령실에서는 김용범 정책실장, 류덕현 재정기획보좌관, 하준경 경제성장수석 등이 함께했다.
이 대통령은 "방위산업은 대한민국의 안보를 지키기 위한 산업으로 지금까지는 내수 중심으로 성장해 왔다면 이제 그 역량을 인정받아서 전 세계로 무기 체계를 수출하는 그런 나라가 됐다"면서 "앞으로도 이런 흐름을 계속 이어가서 이 방위산업이 대한민국 안보를 튼튼하게 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 대한민국의 미래 먹거리 산업의 하나로 자리잡게 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이어 이 대통령은 안보 산업은 대한민국의 안보와 일자리를 지킨다는 점과 대한민국의 위상을 세계에 알리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이 대통령은 "앞으로 우리 정부가 방위산업에 대해 좀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서 투자하고 지원하고 관심을 기울여서 세계적인 방위산업 강국으로 좀 나아갈 수 있게 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 K-방산 제품의 경쟁력 강화, 방위산업 생태계 구축, 정부의 수출 지원 강화 등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우선 안보 환경 변화에 맞춰서 우리 K-방산 제품의 경쟁력을 강화해야 되겠다는 생각이 든다"면서 "빛의 속도로 변하는 전장에서 인공지능이나 무인 로봇과 같은 경쟁력 있는 무기 체계를 개발하고 발전시켜야 될 것 같다. 우리 정부가 할 수 있는 역할들을 찾아보겠다"고 말했다.
또 이 대통령은 "방위산업 영역에서 지금은 이제 소수의 대기업 중심이라는 지적들이 있는데 많은 사람들, 많은 기업들이 규모에 관계없이 참여할 수 있는 방위산업 생태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겠다는 지적이 있다"면서 "수출 영역에서 정부 간 협력이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안보 협력을 정부 차원에서 잘 이뤄내서 우리 방위산업에 종사하는 많은 분 또는 기업들이 더 많은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했다.
앞서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국무회의에서 "인재 양성과 연구개발 투자, 해외 판로 확대 등의 범부처 차원의 노력을 기울여 주기를 바란다"면서 방산 4대 강국이라는 목표 달성을 이끌 방산 육성 컨트롤 타워 신설과 '방산수출진흥전략회의' 정례화도 검토해달라고 지시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