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美디지털 헬스케어 회사 '젤스' 인수

미국의 디지털 헬스케어 회사
7일 계약 체결…인수 절차 연내 마무리
美병원 500개·헬스케어 회사 70개 파트너
디지털헬스케어, '커넥티드 케어'로 확대
'병원-삼성헬스-젤스 플랫폼' 연결해 통합
개인 건강정보·의료 서비스 결합, 종합 관리
초개인화된 건강관리 지속 지원

삼성전자는 지난 7일 미국의 디지털 헬스케어 회사 '젤스(Xealth)'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인수 절차는 연내에 마무리될 예정이다.


삼성전자, 젤스 로고.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 젤스 로고. 사진=삼성전자

원본보기 아이콘

삼성전자는 젤스 인수를 통해 미국 현지에서 '커넥티드 케어' 서비스 제공에 나서겠다는 청사진도 제시했다. '커넥티드 케어'는 일상의 건강을 돌보는 웰니스와 의료 분야에서의 헬스케어를 연결하는 삼성헬스의 비전이다. 갤럭시 스마트폰 사용자가 편리하게 건강을 관리하고 질병까지 예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젤스는 여러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회사다. 2016년 미국의 대표적인 대형 병원 그룹인 '프로비던스 헬스 시스템'에서 스핀오프하며 설립됐다. 이후 프로비던스 헬스 시스템, 애드버케이트 헬스, 배너 헬스 등 미국 내 주요 대형 병원 그룹을 포함한 500여개의 병원과 당뇨, 임신, 수술 등과 관련된 70여개의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 기업들과 파트너를 맺어 협력하고 있다.


젤스가 제공하는 플랫폼은 의료진이 환자 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해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을 환자에게 처방, 추천할 수 있게 하고 환자의 건강 상태도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가령, 젤스와 협력을 맺은 병원의 의사는 젤스 플랫폼에서 당뇨 환자에게 혈당, 생활습관을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 파트너 기업의 앱을 추천하고 이를 통해 혈당 변화와 식이 조절, 운동 기록 등을 한눈에 모니터링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이번 인수를 통해 시너지를 내고,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를 넓힐 수 있길 기대한다. 그간 삼성전자는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이 사람들의 일상에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노력해왔다. 웨어러블 기기의 고도화된 센서 기술은 하루종일 사용자의 건강을 꼼꼼히 관리할 수 있는 핵심 도구로 자리매김했다. 이를 바탕으로 삼성전자는 갤럭시 스마트폰, 워치, 링과 같은 제품에서 수집된 건강정보를 삼성헬스 서비스로 통합 관리해 개인이 건강을 스스로 관리할 수 있는데 집중했다.

삼성전자는 향후 젤스 플랫폼을 활용해 웨어러블 기기에서 측정되는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전문 의료 서비스와 연결하는 커넥티드 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특히 삼성전자는 질병의 예방에 중점을 둔다. 향후 디지털 헬스케어 생태계를 더욱 확장해 가전제품과도 연결, 보다 개인화된 서비스도 제공하려 한다.


노태문 삼성전자 DX부문장 직무대행 사장은 "삼성전자는 혁신 기술과 업계 파트너와의 협력을 통해 사람들이 일상에서 자신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며 "젤스의 폭넓은 헬스케어 네트워크와 전문성을 더해 초개인화된 예방 중심 케어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마이클 맥쉐리 젤스 최고경영자(CEO)는 "삼성전자와 젤스는 헬스케어 분야에서 진정한 커넥티드 케어를 구현하고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를 한단계 발전시키겠다는 공통된 목표를 가지고 있다"며 "웨어러블 기기로 수집된 생체 데이터가 병원의 의료기록과 결합됨으로써 환자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새로운 디지털 헬스케어 가능성을 선보이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삼성전자는 올해 들어서만 M&A를 3건 체결하게 됐다. 지난 5월에는 마시모(미국)의 오디오 사업부와 냉난방공조(HAVC) 기업 플렉트 그룹(독일)을 인수했다. 그보다 앞서선 로봇(레인보우로보틱스), 인공지능(옥스퍼드 시멘틱 테크놀로지스), 메드텍(소니오) 등 미래 성장 산업 관련 기업과 잇따라 계약했다.





김형민 기자 khm19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