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반기를 들고 신당을 창당하겠다고 선언하자 테슬라 주가가 급락했다.
7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테슬라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6.79% 내린 293.94달러에 마감했다. 장중 한때 288.77달러까지 밀렸다가 오후 들어 낙폭을 일부 줄였다. 이날 하락으로 시가총액은 하루 만에 약 1500억달러가 증발해 9468억달러 수준으로 감소했다.
테슬라 주가는 최근 머스크 CEO가 트럼프 대통령과 갈등을 빚을 때마다 큰 폭의 하락을 거듭했다. 지난달 5일 두 사람의 관계가 처음 파국으로 치달았을 때 하루 만에 14.26% 급락했고, 이달 1일 머스크 CEO가 다시 트럼프 대통령을 향한 비판을 시작하면서 갈등이 재점화하자 5.34% 추가 하락했다.
이번에는 머스크 CEO가 트럼프 대통령에게 공식적으로 반기를 들고 새로운 정당을 만들겠다고 나서면서 투심을 악화시켰다. 머스크 CEO는 트럼프 대통령의 주요 국정 의제가 담긴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이 미 의회에서 최종 통과되자 지난 4일 엑스(X·옛 트위터)에서 신당 창당에 찬반을 묻는 온라인 투표를 벌였고, 다음날 "오늘 '아메리카당'이 여러분에게 자유를 돌려주기 위해 창당된다"고 선언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6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머스크 CEO의 신당 창당 선언을 두고 "터무니없다(ridiculous)"며 "완전히 탈선했다(completely off the rails)"고 비난했다.
댄 아이브스 웨드부시증권 애널리스트는 전날 투자자 메모에서 "머스크 CEO가 정치에 더 깊이 관여하고 워싱턴 정계에 맞서려고 하는 것은, 테슬라에 매우 중대한 현시점에서 테슬라 투자자와 주주들이 그에게 원하는 방향과는 완전히 반대되는 행동"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머스크 CEO의 핵심 지지자들은 어떤 상황에서도 그를 지지하겠지만, 많은 테슬라 투자자들은 그가 계속 정치적인 길로 향하는 것에 피로감을 느끼고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대선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을 도와 선거 승리의 일등 공신으로 떠오른 머스크 CEO는 트럼프 2기 정부 출범과 함께 정부효율부(DOGE) 수장을 맡아 연방정부 구조조정을 지휘했다. 이후 130일간의 특별공무원직을 마감한 뒤 트럼프 대통령에게 등을 돌리고 OBBBA 법안을 비판해 왔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