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관세에 화학제품 수입 타격" 美서도 우려

ICIS "벤젠·톨루엔·혼합 자일렌
韓이 美최대 공급국"
美는 구조적 생산 못하는 분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한국에 25% 관세 부과를 예고하자 미국 내에서도 일부 한국 산업군에 대한 관세 조치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벤젠과 톨루엔 등 우리나라가 미국에 수출하는 일부 제품 중 특수한 강점을 지닌 제품은 미국이 구조적으로 생산하지 못하는 제품이기 때문이다.


"韓관세에 화학제품 수입 타격" 美서도 우려 원본보기 아이콘

글로벌 정유·화학산업 전문조사기관 ICIS는 7일 "한국은 미국이 수입하는 벤젠과 톨루엔, 혼합 자일렌의 최대 공급국"이라며 "파라자일렌의 경우 멕시코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공급국"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러한 제품들은 정유 공정이나 납사 크래킹 과정에서 부산물로 생산되는 기초화학물질이기 때문에, 기업들은 이를 일부러 생산하려고 정유시설이나 설비를 증설하지 않는다"면서 "미국 수입업자들은 더 저렴한 대체 공급처를 찾아야 하거나 관세를 부담하거나 생산을 줄일 수밖에 없다"고 짚었다.


실제로 정밀화학원료는 2022~2024년 3년 연속 한국의 10대 전 세계 수출 품목 상위 10개군에 포함됐다. 순위는 10위로 종전 8위보다 두 계단 하락했지만, 여전히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한국화학산업협회에 따르면, 기초원료에 해당하는 에틸렌 수출량은 2024년 185만t으로 4년 전인 2020년(84만8000t) 대비 2.2배로 늘었다. 벤젠과 자일렌도 같은 기간 각 1.4배씩 수출량이 늘었다. 이 중 미국은 석유화학 제품 수출군 전체를 통틀어 단일 국가 중 두 번째로 큰 수요국이다.


ICIS는 또 "벤젠은 쿠멘이나 스티렌 등 중간재 생산에 활용되는 정밀화학원료"라며 "쿠멘은 이후 페놀과 아세톤을 만드는 데 쓰이게 된다"고 짚었다. 또한 파라자일렌의 경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제조에 쓰이는 두 가지 주요 원료 중 하나인데, 이는 섬유나 음료 페트병의 주성분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상호관세에 따른 부담을 자국 소비자가 아닌 수출국들이 지게 될 것이라고 공언했지만, 필수재 등을 공급하는 공급처들은 협상 우위가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협상 우위를 보유한 공급처들은 관세만큼 최종 소비자가를 인상함으로써 이에 따른 비용 부담을 미국 소비자와 기업들에 전가할 수 있다.


관세 비용이 미국 소비자들을 직접 겨냥할 수 있다는 우려는 꾸준히 제기됐다. 지난 4월 뉴욕타임스(NYT)가 보도한 미 경제연구기관 트레이드 파트너십 월드와이드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미국 상품 수입에 따른 관세 비용은 연 7140억달러(약 1033조원) 늘어날 전망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을 우려해 온 이유기도 하다. 이를 두고 NYT는 "기업과 소비자가 수입 비용 증가를 대부분 부담하게 되는 탓에 관세 증액이 상당한 경제적 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고 짚었다.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