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1일부터 지급되는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두고 부산 남구를 지역구로 하는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이 "부산시민은 25만 원 필요 없다"고 말해 시민들의 불만이 고조되는 가운데, 그가 후원금 모집에 나섰다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비판의 목소리가 더욱 거세지고 있다.
앞서 지난 3일 박 의원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해 절반이 지났지만, 비상계엄, 탄핵, 대선 등 정국이 복잡했기 때문에 한 번도 후원금 모금에 관해 포스팅하지 못했다"며 자신의 후원회 계좌번호를 공개하면서 후원금 모집을 시작했다. 그러나 바로 다음 날인 4일에는 자신의 SNS에 "부산으로 이전한 공기업들이 올해 500명 이상을 뽑는다고 한다. 기왕 이전하기로 한 해양수산부는 연말까지 '남구'로 보내주시고, 당선축하금 25만원 대신 산업은행도 '남구'로 빨리 보내달라"며 "부산시민은 25만원 필요 없다"고 말해 논란을 자처했다.
이에 김지호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정치인에게는 후원금이 절실하고, 국민에게는 민생지원금이 사치입니까"라고 물으며 "서민과 소상공인에게는 단돈 25만 원이 절박한 생계의 버팀목"이라고 비판했다. 김병주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도대체 박 의원은 무슨 자격으로 부산 시민의 권리를 대신 거부하려는 거냐"고 지적했고, 같은 국민의힘 소속인 한준호 의원도 "부산 시민을 기만하는 것도 정도껏 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조국혁신당 또한 박 의원이 36억 원의 재산을 신고한 것을 두고 "예금만 20억등이 있는 부자이다 보니 당연히 25만 원은 돈도 아니겠다"고 덧붙였다.
누리꾼 또한 "부산시민 25만 원은 제멋대로 필요 없다더니 정작 본인 후원금은 필요하냐", "염치는 어디 갔느냐" 등의 지적을 쏟아내며 박 의원의 모순된 행동을 비판했다. 자신을 부산 시민이라고 말한 누리꾼은 "정작 부산시민에게 지원금 관련해 필요한지 물어는 봤을까"라며, "나는 지원금 필요한데 박수영 의원이 대신 줄 건가요?"라고 반문하기도 했다. 그러나 요로 비판에도 박 의원은 7일 SNS에 "지역화폐 효과는 일회성"이라며 "부산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지역화폐 25만원보다 산업은행 이전"이라며 정부를 향해 조속한 이전을 재차 촉구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