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 3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내란 우두머리 혐의·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 사건 9차 공판에 출석하며 지지자들을 향해 미소를 보이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원본보기 아이콘김진 전 중앙일보 논설위원이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와 영장실질심사를 두고 발부될 것으로 판단한다며 "윤석열 전 대통령의 자유가 이틀 남았다"라고 말했다.
8일 김 전 논설위원은 CBS라디오 '박재홍의 한판승부'에 출연해 "평양에 드론을 띄워서 군사도발을 유도해 비상계엄의 핑계로 삼으려고 한 농후가 굉장히 짙은 상황"이라며 "법률적으로 외환죄나 여부를 따지는 것이 상당히 까다롭지만, 국민 정서적으로는 국민에 대한 대역죄다"라고 진단했다.
그는 노상원 전 사령관에 대한 추가 구속영장이 발부된 것에 대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에 이어 노상원 전 사령관까지 핵심 혐의자들이 줄줄이 구속 연장됐다"라며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재구속 가능성도 더 커졌다고 판단했다.
그는 윤 전 대통령이 김성훈 경호처 차장과 이광우 경호본부장을 관저에 불러 점심을 먹으면서 "경찰보다 경호관들이 총을 더 잘 쏜다. 총기를 보여줘야 경찰들이 겁을 먹는다"라고 발언했다는 의혹에 대해 "기관단총을 들고 그 경내를 경비하는 순찰하는 모습이 잡히기도 했고, 이것은 정상적인 정신 상태를 가진 대통령으로서는 도저히 할 수 없는 얘기를 한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만약 열성적으로 충성을 하고 이 비정상적인 판단을 한 어떤 경호관이 실탄을 장전한 총기를 사용해서 총을 쐈더라면 아마도 제2의 4.19가 일어났을 것"이라며 "이런 일이 초래될 수 있는 위험한 그런 징후의 발언을 대통령이 점심을 먹으면서 얘기한 그 대목이 저는 가장 충격적이고 분노를 갖게 했다"라고 덧붙였다.
끝으로 주요 영장 청구 사유 중 하나인 비상계엄 국무회의에 대해에도 지적했다. 의사 정족수 11만만 채우기 위해서 그들에게 연락했고, 연락을 받지 않은 국무위원들은 회의에 참석해 계엄령의 필요성 여부에 대해 심의하고 의견을 낼 수 있는 권한을 침해당한 것이라고 전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