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안타증권은 8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주요 국정 의제가 담긴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이 최근 의회를 최종 통과한 것과 관련, 국내 증시에서 조선업에 대한 업종 비중확대 의견을 유지했다. 하반기 미 해군 방산 관련 주가 상승 트리거가 여전히 유효하다는 진단이다.
김용민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이날 'OBBBA에서 드러나는 그분의 의지'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OBBBA 내 '국방부의 함정 건조 자원 강화' 부분을 살펴보면 해당 항목의 예산은 총 290억달러 증가했으며 이 중 가장 중요한 증액은 구축함 두 척, 핵잠수함 한 척을 비롯한 함정 추가 조달 예산"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 연구원은 "트럼프 행정부의 해군력 회복에 대한 분명한 의지를 보여준다"면서 "문제는 역시나 돈을 부어도 못 만드는 현지 사정"이라고 짚었다. 그는 "언급된 구축함과 핵잠수함은 인도 지연이 가장 심화된 대표적인 함종"이라며 "하반기 한국 조선사와의 협력 진전을 기대하는 가장 큰 근거"라고 강조했다.
다만 김 연구원은 "트럼프 행정부의 자국 내 조선업 지원 의도를 감안 시, 선박 완전건조(Whole-ship) 계약 수주 가능성은 여전히 매우 제한적"이라며 한국 조선업체들의 함정 블록 건조 계약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에 따라 국내 증시에서 조선업에 대한 비중확대 의견은 유지했다. 김 연구원은 "보세구역 활용 및 중국산 후판의 여전히 낮은 유통가를 통한 협상, 결국 '나와야만 하는' 미국 및 글로벌 LNG프로젝트향 LNG선 발주 등 하반기 미 해군 방산 관련 주가 상승 트리거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평가했다.
지난주 조선업의 전반적 주가 하락에 대해서는 ▲후판가 인상 가능성에 따른 중장기적 감익 ▲단기 주가 상승 이후 조정 ▲LNG선 발주 모멘텀 부재 등으로 인한 것으로 분석했다. 앞서 HD한국조선해양 의 공매도 거래대금 급증 및 주가 조정 역시 매수 기회라고 진단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