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임 장관 "AI 대전환에 과기정통부 부총리급 격상돼야"

"R&D 투자, 국가 총지출 5% 이상" 강조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7일 부처의 부총리급 격상과 더불어 정부의 연구·개발(R&D) 투자가 국가 총지출의 5% 이상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왼쪽)과 이진숙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이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 자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왼쪽)과 이진숙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이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 자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유 장관은 이날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 출석해 과학기술기본법 일부개정법률안 등 통과에 대한 기관장 발언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새 정부에서 과기정통부가 부총리급으로 격상되고, 예측할 수 있고 지속 가능한 (R&D) 예산이 할당되는 것이 글로벌 기술 패권 전쟁에 대응하는 길"이라고 했다.


이날 과학기술기본법 개정으로 R&D 사업에서 예비타당성조사 제도가 폐지되고 후속 제도 시행을 위한 근거가 마련됐다.


그는 "인공지능(AI), 바이오 등 첨단 전략 기술에서 기존보다 2년 이상 신속하게 추진할 수 있어 우리나라가 글로벌 기술 경쟁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됐다"며 "앞으로 5년이 대한민국의 큰 위기라는 생각도 하는데, 특히 AI 대전환이 엄청 빠르게 글로벌 구도를 바꿀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에 AI 컴퓨팅 인프라가 마련되지 않았는데, 여야 협의로 1조8000억원 수준이던 원 예산을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2조원 이상 마련한 것은 굉장히 큰일이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한편, 신임 배경훈 장관 후보자 청문회가 오는 14일로 예정됨에 따라 유 장관의 국회 출석은 이날이 마지막일 것으로 예상된다.





노경조 기자 felizk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