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종료를 앞두고 지역 수출기업의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시는 7일 오후 4시 시청 7층 회의실에서 수출유관기관 및 지역 수출기업과 함께 '수출 위기 대응 점검회의'를 열고 미 관세 정책 변화에 따른 지역경제 영향을 진단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한다.
오는 7월 9일(한국시간 기준) 종료 예정인 미국 트럼프 정부의 상호관세 유예기간을 앞두고 마련된 이번 회의는 최근 고조되는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로 마련됐다.
이날 회의에 한국무역협회 부산지역본부, 코트라 부산지원단, 무역보험공사 부산지역본부,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부산본부세관, 부산상공회의소 등 주요 수출지원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지역 수출기업 ㈜펠릭스테크, ㈜지맥스, ㈜자연지애도 참여해 현장에서 겪는 애로사항을 직접 전달하고 기관별 대응 지원 방안을 모색했다.
시는 이번 회의에서 제기된 건의사항과 우려를 토대로 관세 부과에 따른 실질적인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대응책을 신속히 마련할 방침이다.
부산시는 앞서 '비상수출대책 2.0'을 수립해 ▲1개사 최대 8억원까지 총 1000억원 규모의 긴급 운전자금 지원 ▲수출보험·신용보증료 확대 ▲'관세 대응 119' 상담창구 운영 ▲수출바우처 내 관세 대응 분야 신설 ▲대미 의존 탈피를 위한 신시장 개척 지원 등 통상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오고 있다.
또 지난 4월부터는 '수출위기 현장 대응반'을 운영해 기업 밀착지원을 이어오고 있으며 6월에는 지역 기업 대상 '녹산산단 관세 핀셋포인트 설명회'를 열어 관세·통관 이슈를 공유하고 현장 의견을 수렴했다.
하반기에는 해외마케팅 통합시스템을 기업 친화형 플랫폼으로 개편하고 부산지방변호사회와 연계한 '1기업 1고문변호사제'를 도입해 법률서비스 접근성도 높일 예정이다.
이준승 부산시 행정부시장은 "관세 유예 종료로 인한 무역 리스크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통상환경 변화 속에서도 지역기업이 흔들리지 않도록 긴밀한 협조체계를 유지하겠다"고 힘줬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