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 칼텍스가 17년 연속으로 국가고객만족도(NCSI) 1위를 차지하며 디지털 기반의 주유소 혁신을 강화했다.
GS칼텍스는 한국생산성본부 주관 국가고객만족도 조사에서 주유소 부문 1위 기업으로 선정됐다고 7일 밝혔다. 국가고객만족도는 기업, 산업, 국가의 품질경쟁력 향상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한국생산성본부가 미국 미시간대학과 함께 개발한 고객 만족도 측정 지표다.
GS칼텍스는 한국생산성본부 주관 국가고객만족도 조사에서 주유소부문 1위 기업으로 선정됐다고 7일 밝혔다. 사진은 자사 모바일 앱 '에너지플러스'를 자동차 디스플레이를 통해 실행한 모습. GS칼텍스
원본보기 아이콘GS칼텍스는 이번 조사에서 자사 모바일 앱 '에너지플러스' 등을 활용해 고객의 목소리를 실시간으로 듣고 신속히 반영해 온 노력을 인정받았다. 고객이 체감할 수 있는 새로운 주유 경험과 혜택을 제공한 것이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올해로 17년 연속 주유소 부문 1위를 기록했다.
GS칼텍스는 2021년 주유 고객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에너지플러스 앱을 출시하고, 새로운 주유 방식과 혜택을 도입해왔다. 특히 '바로주유' 기능은 고객이 평소 사용하는 유종, 주유량, 결제 수단 등을 앱에 미리 등록해두면 주유소에서 바코드 스캔이나 비밀번호 입력만으로 간편하게 주유와 결제를 완료할 수 있는 서비스다.
올해는 앱 전담 조직인 개발·운영팀이 고객 요청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주유 관련 문의와 불편 사항을 해소하고, 3가지 신규 기능을 추가해 이용자 편의성을 한층 높였다.
우선 국내 정유사 최초로 자동차 디스플레이를 통해 주유소 찾기, 바로주유, 쿠폰·포인트 조회 등을 실행할 수 있는 차량 연동 서비스 '카 플레이(Car Play)'와 '안드로이드 오토(Android Auto)'를 도입했다. 또 스마트폰을 흔드는 동작만으로 바로주유 기능을 빠르게 실행할 수 있는 기능도 적용했다. 여기에 앱을 실행하지 않고도 위젯 터치만으로 주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홈 화면 위젯도 전면 개편했다.
한편 GS칼텍스는 2020년부터 다양한 간편결제 수단을 도입해왔다.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페이코, 제로페이에 이어, 2023년에는 애플 전자결제 서비스도 도입했다. 올해 하반기에는 셀프 주유소에서도 간편결제가 더 쉽게 이뤄지도록 '결제 통합형 셀프 주유기 단말기'를 개발해 적용할 계획이다.
김창수 GS칼텍스 모빌리티·마케팅 본부 부사장은 "앞으로도 에너지 소비 형태와 고객 생활방식 변화에 맞춰 GS칼텍스 주유소를 찾는 고객이 혁신적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지속해서 서비스를 발굴하고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