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왕절개 아기, 급성 백혈병 위험 21% 증가"

스웨덴 대규모 연구
"불필요한 수술, 신중히 판단해야"

제왕절개로 태어난 아이들이 자연분만으로 태어난 경우보다 특정 유형의 소아 백혈병에 걸릴 가능성이 더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계획된 제왕절개 출산의 경우 위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제왕절개로 태어나면 자연분만보다 소아 백혈병에 걸릴 확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으로 기사 내용과 무관). 픽사베이

제왕절개로 태어나면 자연분만보다 소아 백혈병에 걸릴 확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으로 기사 내용과 무관). 픽사베이

원본보기 아이콘

4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스웨덴 카롤린스카연구소 연구팀은 출산 방식과 소아암 발병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계획된 제왕절개로 태어난 아이들의 급성 림프모구백혈병(ALL) 발병률이 자연분만 대비 약 21% 높다고 밝혔다.


연구는 스웨덴 전역에서 1982년부터 1989년, 그리고 1999년부터 2015년 사이 출생한 약 250만 명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했다. 이 가운데 15.5%가 제왕절개로 출생했다. 조사 기간 동안 백혈병 진단을 받은 어린이는 총 1495명이었는데 이 중 가장 많이 진단된 유형은 'B세포 급성 림프모구백혈병(B-ALL)'이었다. 이 유형의 발병은 계획된 제왕절개 출생자에게서 29% 더 높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같은 차이에 대해 아기가 산도를 통과하지 않고 박테리아 환경에 노출되지 않은 채 태어나는 과정이 면역 체계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설을 제시했다. 자연분만 시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박테리아 노출이 면역계 형성에 긍정적인 자극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계획된 제왕절개로 태어난 아기는 같은 이유로 천식이나 음식 알레르기 등의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응급 제왕절개의 경우 출산 과정 일부가 자연분만과 유사하게 진행됐을 가능성이 있어, 상대적으로 이러한 위험이 낮게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의 책임저자인 크리스티나 에브모르피아 캄피치 박사는 "제왕절개는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지키는 데 중요한 의료적 수단"이라며 "의학적 이유로 시행되는 제왕절개에 대해서는 불필요한 걱정을 가질 필요는 없다"고 강조했다. 다만 그는 "계획된 제왕절개로 출생한 아이는 천식, 알레르기, 제1형 당뇨병 등 만성질환의 위험도 높다는 연구들이 있다"며, 불필요한 제왕절개를 피할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 연구는 학술지 국제 암 저널에 게재됐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