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은 한국의 고도성장기에 자원 배분이 한쪽에 치우쳤다고 지적하며 "이를 근본적으로 바꾸고 균형발전 전략을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4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국민소통 행보, 충청의 마음을 듣다'는 주제로 열린 타운홀미팅에 참석해 "고도성장기에는 성장을 위한 자원 배분이 한 쪽으로 몰릴 수밖에 없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식민지에서 해방된 나라 중 경제성장과 민주화를 이룬 나라는 대한민국밖에 없다"며 "재벌이라고 하는 대기업 군단으로 부작용도 많이 생겼지만, 압축적 성장이 크게 도움이 되었던 게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 대통령은 "공도 있고 과도 있다"며 "모두가 공평한 기회를 누리는 공정한 세상이 아닌, 불균형 성장 전략을 취해왔다는 생각이 든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한쪽으로 몰아서 발전하는 전략은 한계에 다다른 것 같다. 특권 계층이 생겨나고 공정하고 투명한 사회가 되지 못한 측면도 많다"고 주장했다.
또 이 대통령은 "이제 큰 기업도 부실하면 시장에서 퇴출하고 작은 기업도 경쟁력이 있으면 얼마든지 클 수 있는 정상적인 경제 생태계, 공정하고 합리적인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며 "일부의 특권화된 특수한 몇몇 집단 또는 사람들의 이런 특권적 지위도 많이 해체해야 하지 않겠나"라고 언급했다.
이 대통령은 지역 균형발전에 대한 의지도 드러냈다. 이 대통령은 "당시에는 (성장 자원을) 서울에 집중했다"며 "수도권으로 완전히 다 몰리면서 나머지 지역은 전부 생존 위기를 겪는 상황이 됐다"고 비판했다.
그는 "여기 대전은 과학중심 도시인데, (이전 정부가) 황당무계한 연구개발(R&D) 예산 삭감을 하면서 폭격을 맞은 지역이기도 하다"며 "오늘은 충청에 계신 대한민국 주권자 여러분의 허심탄회하고 다양한 말씀을 들어보고 싶다"고 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