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이건희 회장 기부로…'감염병 연구역량 강화사업' 본격 착수

질병청, 글로벌 감염병 대응역량 확보 위해 연구협력

고(故)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 유족의 기부로 이뤄지는 '국가 감염병 대응 인프라 구축 사업'이 본격화한다.


3일 서울 용산구 드래곤시티호텔에서 열린 '제1회 이건희 감염병극복 연구역량 강화사업 국제심포지엄'에서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질병관리청

3일 서울 용산구 드래곤시티호텔에서 열린 '제1회 이건희 감염병극복 연구역량 강화사업 국제심포지엄'에서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질병관리청

원본보기 아이콘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는 국립중앙의료원과 함께 3일 서울 용산구 드래곤시티호텔에서 '제1회 이건희 감염병 극복 연구역량 강화사업 국제심포지엄'을 열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올해부터 본격 착수하는 연구역량 강화사업의 추진 방향과 연구 성과 등을 공유하고 기관 간 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국립중앙의료원과 함께 국립감염병연구소가 공동으로 주최하며, 국제백신연구소(IVI)가 파트너기관으로 참여한다.


앞서 2021년 이 회장 유족은 인류의 위협인 감염병에 대응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을 위해 7000억원을 기부했다.


질병청은 기부 취지를 고려해 감염병 대응을 위한 공공의료체계와 감염병 연구·임상 간 연계를 통해 공공성, 시급성, 혁신성에 부합하는 6대 중점분야 연구과제를 추진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18개 세부과제를 선정해 감염병 위기 상황 발생 시 백신과 치료제를 신속하게 개발하도록 임상 협업과 데이터 인프라를 고도화하고 항생제 내성을 극복하는 신개념 항균제 개발에도 도전한다. 아울러 향후 감염병임상연구센터를 건립하는 등 인프라를 구축해 국내외 연구기관, 기업들과도 협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날 심포지엄에선 '이건희 감염병 극복 연구역량 강화사업 개요-나눔의 유산과 감염병 대응의 미래'라는 주제로 장희창 국립감염병연구소장이 기조강연을 했다. 1부에서는 국가 임상시험 네트워크 구축 및 항생제 내성 극복을 위한 연구인프라 구축을 소개하고, 2부에서는 감염병병원 기반 팬데믹 대비 의료대응 연구역량 강화 등 연구과제를 중심으로 국내외 전문가들이 발표했다.


이어 4일 열린 '제3회 감염병연구기관 국제심포지엄(IDRIC)'에서는 범정부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 중장기 계획'에 따라 신속하게 백신·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미래 팬데믹 대비 대응을 위한 백신·치료제 개발 및 연구협력 강화'를 주제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된다.


이형훈 보건복지부 2차관은 "미래 팬데믹 대비·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국립감염병연구소, 국립중앙의료원을 중심으로 국내외 연구기관 간 협력체계를 구축해 국가 차원의 국제공조를 위한 장을 마련했다는 데 의미가 크다"며 "특히 고 이건희 회장 유족의 뜻깊은 기부가 감염병 치료 및 연구에 필요한 국가 인프라 확충의 마중물이 돼 감염병 전주기적 대비 및 대응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감염병 관리체계를 한 단계 더 발전하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통해 신속하게 백신·치료제 개발을 지원하고, 글로벌 감염병 위기 대응 역량 구축이라는 목적에 맞게 사용될 수 있도록 복지부, 국립중앙의료원과 함께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