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101억4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25개월 연속 흑자 행진으로, 5월 기준 역대 세 번째로 흑자 폭이 컸다. 반도체 수출이 호조세를 보이며 상품수지 흑자 폭이 확대된 데다 외국인 배당지급 등 계절적 요인이 사라지며 본원소득수지가 흑자 전환한 영향이다.
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5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지난 5월 우리나라 경상수지는 101억4000만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경상수지는 2023년 5월 이후 25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전월 57억달러, 지난해 같은 달 90억9000만달러와 비교해 모두 흑자 폭이 커졌다. 2016년(104억9000만달러), 2021년(113억1000만달러)에 이어 5월 기준 역대 세 번째로 흑자 폭이 컸다.
경상수지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상품수지는 106억6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전월(89억9000만달러)과 전년 동월(88억2000만달러) 대비 모두 흑자 폭이 커졌다. 세부 항목인 수출과 수입 모두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줄었으나 수입이 더 큰 폭으로 줄어든 영향이다.
수출은 569억3000만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2.9% 감소했다. 자동차·철강·석유제품 등 비IT 품목이 줄면서 4개월 만에 감소 전환했으나, 반도체 수출 증가세가 확대되면서 감소 폭을 일부 상쇄했다. 5월 통관기준 반도체 수출은 139억3000만달러로 20.6% 늘었다. 반면 석유제품은 36억4000만달러로 20% 감소했다. 철강 제품과 승용차 수출도 각각 9.6%, 5.6% 줄었다.
수입 역시 462억7000만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7.2% 감소했다. 자본재는 증가세를 유지했으나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감소 폭이 확대되면서 감소세를 이어갔다. 지난 5월 통관기준 원자재 수입은 233억원으로 13.7% 줄었다. 석탄(-31.6%), 석유제품(-30%), 원유(-14%), 화공품(-8.4%) 등 모두 감소세를 보였다. 자본재는 183억4000만달러로 4.9% 늘었다. 반도체제조장비(26.1%)와 수송장비(46.8%), 정보통신기기(16.4%)는 증가했으나 반도체는 3.5% 줄었다. 소비재 역시 86억8000만달러로 0.4% 증가했다. 승용차가 16.8% 늘었고, 곡물은 16.4% 줄었다.
여행수지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수지는 22억8000만달러 적자를 나타내며 전월(-28억3000만달러) 대비 적자 폭을 줄였다. 여행수지는 5월 연휴 중 해외여행객이 늘면서 9억5000만달러 적자를 기록, 적자 폭이 확대됐다. 반면 지식재산권사용료 수지는 3억4000만달러 적자로, 국내 기업들이 해외 자회사로부터 지재권 사용료를 받으면서 적자 폭을 줄였다. 기타사업서비스수지 역시 10억7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하며 적자 폭이 감소했다. 전월 연구개발(R&D) 서비스 지급이 일시적으로 늘어난 기저효과다.
본원소득수지는 배당소득수지를 중심으로 21억5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전월의 계절적 요인 해소로 배당지급이 줄어들며 한 달 만에 흑자 전환했다.
자산에서 부채를 뺀 금융계정 순자산은 67억1000만달러 증가했다. 직접투자는 내국인 해외투자가 41억3000만달러 증가했고, 외국인 국내투자는 3억2000만달러 늘었다. 증권투자는 내국인 해외투자가 채권을 중심으로 100억9000만달러 증가했고, 외국인 국내투자는 채권을 중심으로 127억7000만달러 늘었다. 파생금융상품은 8억8000만달러 감소했다. 기타투자는 자산이 대출을 중심으로 80억1000만달러 증가했고, 부채는 기타부채를 중심으로 9억7000만달러 늘었다. 준비자산은 5억7000만달러 감소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