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4일 북한 황해북도 평산 우라늄 정련공장 폐수 문제와 관련한 관계부처 합동 실태조사를 실시한다. 북측이 정화하지 않은 폐수가 예성강을 통해 서해 강화도 일대로 흘러 들어가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데 따른 대응 차원이다.
정부는 3일 통일부 통일정책실장이 주재하는 관계부처 회의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엔 원자력안전위원회, 해양수산부, 환경부, 국방부, 국가정보원 관계자가 참석했다.
이번 특별 실태조사는 북한 지역에서 유입되는 예성강 하구와 가장 가까운 강화도 및 한강하구 등 10개 정점에 대해 우라늄, 세슘 등 방사성 및 중금속 오염 여부를 조사하고, 앞으로 약 2주간의 분석 과정을 거쳐 모든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할 예정이다.
정부는 또 이번 실태조사를 2019년에 비해 더욱 확대해 철저히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조사정점은 2019년 6개에서 올해 10곳으로 늘려 실시하며, 조사범위도 우라늄에서 우라늄·세슘·중금속으로 확대한다. 조사 참여기관도 기존 원안위에서 원안위·해수부·환경부로 확대한다.
정부는 "이번 일회적 조사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당분간 매월 감시를 지속하는 등 정기 감시 시스템을 구축하고, 관계부처 협의체를 지속 운영하고 수시 소통해 나감으로써 국민적 우려 사안에 대해 즉시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면서 "유관기관 간 협력을 통해 북한 우라늄 정련공장을 포함하여 북한의 핵 활동 관련 동향을 면밀히 주시·분석하고 있으며, 우리 국민의 건강과 안전, 환경에 대한 우려가 발생하지 않도록 앞으로도 관계부처가 공동으로 면밀히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