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대화·타협' 의지에…의정갈등 해소 기대감 고조

취임 첫 기자회견서 의료계 '신뢰 회복' 강조
의대생·전공의 복귀 방안 마련 속도낼 듯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첫 기자회견에서 의정 갈등과 관련해 '신뢰 회복'을 강조하면서 정부와 의료계 간의 대화를 통한 갈등 해소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대통령이 직접적으로 의대생과 전공의들의 복귀 방안이 필요하다는 점을 언급한 점이 눈길을 끈다.


이재명 대통령이 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이 대통령은 3일 청와대에서 열린 취임 한 달 기자회견에서 의정 갈등 해법을 묻는 말에 "신뢰를 회복하고 대화를 충분히 하고, 또 적절하게 필요한 영역에서 타협해 나가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답했다.

이 대통령은 "(의대생이) 2학기에 가능하면 복귀할 수 있는 상황을 정부 차원에 많이 만들어내야 하겠다"며 "빠른 시간 내에 대화하고, 이것도 역시 솔직한 토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는 이 대통령 취임 후 의정 갈등과 관련한 첫 공개 발언이다. 구체적인 해법이 제시된 것은 아니지만 '대화'와 '타협'의 메시지를 내고 사실상 의대생과 전공의들의 복귀 방안 마련까지 주문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 대통령은 이날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 지명과 관련해 의료계 단체들이 잇따라 환영 성명을 낸 것과 관련해서도 "또 하나의 희망적인 사인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의료계는 이같은 이 대통령의 발언을 환영하는 분위기다. 특히 이 대통령이 "전 정부의 억지스러운 정책" "납득하기 어려운 일방적 강행" 등을 언급하면서 의정 갈등 사태에 대한 정부의 책임을 강조한 점도 의료계는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회는 전날 회원들을 상대로 9월 복귀를 위한 선결 조건을 묻는 설문을 시작하는 등 정부와의 대화를 위한 준비 작업에 나섰다. 설문을 통해 수렴된 내부 의견을 바탕으로 의정 대화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의대생이나 전공의 모두 하반기 복귀를 위해선 정부가 학사 유연화나 수련 특례 등을 열어줘야 한다는 입장인데, 학사 일정이나 전공의 모집 일정 등을 고려할 때 이달 중 방향이 정해져야 하는 만큼 시간이 많은 편은 아니다.


복지부도 최근 임명된 이형훈 2차관을 중심으로 해법을 모색하고 있는 만큼 장관이 취임하는 대로 본격적인 논의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