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은 3일 취임 30일 기자회견에서 최근 화두가 된 장·차관 인선 등 인사 문제와 관련해 "인사는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어떤 정책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이라며 "마음에 드는 색깔이 같은 사람만 계속 쓰면 위험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취임 한 달 소회'를 묻는 기자의 질문에 "인사를 좀 더 편한 쪽으로 하면 속도도 나고 갈등은 최소화될 수 있을진 모르겠으나 대통령으로서 국민이 하나로 모일 통합의 국정을 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시멘트, 자갈, 모레, 물을 섞어야 콘크리트가 되는데 시멘트만 잔뜩 모으면 시멘트 덩어리가 될 뿐"이라며 "차이는 불편한 것이기도 하지만 시너지의 원천이기도 하다"고 덧붙였다.
조국혁신당 등 야당 일각에서 검찰 인사와 관련 강하게 반발하는 데 대해 "인사는 중요하지만 이로 인해 모든 게 결정될 수 없다. 성향이 다르거나 누구와 관련이 있다, 누구와 친하다더라, 이런 걸로 판단해서 배제하기 시작하면 정치보복으로 발전할 수 있고, 남는 게 없을 수 있다"고 밝혔다. 다만 "야당의 불만이 실질적 논거가 있는 것인지 묻고, 타당하고 합리적 근거가 있다면 수용해서 결정할 것이고 앞으로도 끊임없이 대화할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검찰 등 권력기관 개혁과 관련해선 모두발언을 통해 "국민의 권한을 위임받은 권력 기관들에 대한 개혁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의정 갈등과 관련해선 "전 정부의 과도한 억지스러운 정책, 납득하기 어려운 일방적 강행 등이 문제를 많이 악화시켰고 의료 시스템을 많이 망가뜨려 국가적 손실이 컸다"며 "빠른 시일 안에 대화하고, 솔직한 토론을 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어 "취임 후 의료단체 등과 면담을 해봤더니 불신이 가장 큰 원인이더라"면서 "정부가 바뀌면서 긴장감과 불신이 조금은 완화된 것 같다. 적절하게 타협해나가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했다. 그러면서 복지부 장관이 빨리 임명되길 기대한다고도 덧붙였다.
취약 계층을 보호할 사회 안전망 구축과 관련해선 "두툼한 '사회 안전 매트리스'로 국민의 삶을 빈틈없이 지켜내겠다"며 "민생경제의 파고 앞에 맨몸으로 선 취약계층을 보호할 사회 안전망을 더욱 촘촘하게 구축하고 모든 국민의 기본적인 삶이 보장되는 사회로 나아가겠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또 "국민의 안전하고 평화로운 일상을 책임지는 국가의 제1책무를 다하겠다"면서 "사회적 참사 진상 규명부터 반복되는 산업재해의 재발방지책 마련까지 안전 사회 건설의 책무를 외면하지 않겠다. 죽음의 일터를 삶의 일터로 바꾸고 더는 유가족이 거리에서 울부짖는 일이 없게 하겠다"고 강조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