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직해병특검, 이종섭·김계환·임성근·이종호 출국금지 조치

해병대 채상병 순직사건 수사외압 의혹을 수사 중인 이명현 특별검사팀이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등 사건의 핵심 당사자들을 출국금지 조치했다.


브리핑하는 순직해병 특별검사팀 정민영 특검보. 연합뉴스

브리핑하는 순직해병 특별검사팀 정민영 특검보.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정민영 특검보는 3일 서울 서초구 특검 사무실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어제 피의자로 수사한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특검법상 수사 대상 이름으로 명시된 이 전 장관,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는 출국금지가 이뤄졌다"며 "이 사건 관련 핵심 당사자인 김계환 전 사령관에 대해서도 출국금지가 이뤄졌다"고 밝혔다. 정 특검보는 "이 외에도 주요 수사대상자들에 대한 출국금지 조치도 이뤄진 상황"이라고 했다.

2023년 7월 채상병 순직 당시 국방부 장관이었던 이 전 장관은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통화 직후 해병대 수사단의 초동조치 결재를 번복하고 이첩 중단을 지시해 'VIP 격노설'과 수사외압 의혹의 핵심 수사 대상이다.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에 연루된 이 전 대표는 김건희 여사를 상대로 임 전 사단장 구명 로비를 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김계환 전 해병대 사령관은 해병대 수사단장이었던 박정훈 대령에게 수사 외압을 가한 의혹을 받고 있다.


한편 전날 소환조사를 받은 임 전 사단장은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와 관련된 질문에 대부분 진술을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임 전 사단장은 'VIP 격노설', '구명 로비설' 등 모든 의혹에 등장하는 핵심 인물로 꼽힌다. 이날 정 특검보는 "업무상 과실치사 관련 질문들이 처음에 있었는데, 그 부분에 대해서는 대부분 진술을 거부했다"며 "이후 직권남용이나 허위보고, 구명로비 관련 질문 있었지만, 일부는 답하고, 일부는 진술을 거부했다"고 밝혔다. 또 임 전 사단장이 전날 특검팀에 제출한 휴대폰에 대해서는 "포렌식 절차 진행을 위해 대검찰청에 절차를 의뢰할 예정"이라고 했다.




곽민재 기자 mjkwak@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