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특보 속 서울 자치구 ‘폭염종합대책’ 총력

취약계층 보호·도심 온도 저감에 행정력 집중

전국적으로 폭염특보가 잇따라 발효되며 올여름 역대급 무더위가 본격화하고 있다. 폭염특보가 확대·강화되는 가운데 서울 각 자치구는 무더위쉼터 운영, 취약계층 보호, 폭염 저감시설 확충 등 폭염 대응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무더운 날씨 이어지면서 전국 대부분 지역에 폭염특보가 발효된 지난 1일 서울광장에서 한 시민이 쿨링포그 앞에서 부채질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무더운 날씨 이어지면서 전국 대부분 지역에 폭염특보가 발효된 지난 1일 서울광장에서 한 시민이 쿨링포그 앞에서 부채질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

광진구는 9월 30일까지 폭염 돌봄서비스 추진 기간으로 정하고 돌봄 사각지대 보호에 나선다. 돌봄SOS 폭염대책은 여름철 폭염에 취약한 가구에 안부를 확인하고 생활실태 정비를 돕는다.


올해는 기후변화로 폭염 위기가 높아짐에 따라 돌봄서비스 추진기간을 지난해보다 한 달 이상 늘렸다. 기준 중위소득 130% 이하 중 혼자 거동이 힘들거나 독립적 일상생활이 어려운 가구에 1인당 70만원을 지원한다. 방충문·방충망 설치, 장판 교체, 손잡이 교체비용과 교통비를 포함하면 최대 105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송파구는 도시안전과를 중심으로 8개 부서가 협력하는 폭염대책TF를 구성해 실시간 모니터링과 단계별 대응 체계를 가동 중이다. 독거 어르신 등 폭염취약계층 보호와 폭염 저감시설 확대에 중점을 두고 폭염 피해 최소화에 총력을 다한다.


구는 도시안전과를 중심으로 8개 부서가 협력하는 폭염대책TF를 구성, 실시간 모니터링과 단계별 대응 체계를 가동 중이다. 특히 독거 어르신 등 폭염취약계층 보호와 폭염 저감시설 확대에 중점을 두고 폭염 피해 최소화에 총력을 다한다.


중랑구도 지난 2일 ‘폭염 종합대책 추진 회의’를 열고, 부서별 대응 상황과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구는 폭염특보 발령에 따라 상황총괄반, 건강관리지원반, 복지대책반 등 총 5개 반 12개 부서로 구성된 ‘폭염 종합지원상황실’을 운영 중이다. 폭염으로 인한 대규모 피해가 발생하면 구청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폭염안전대책본부도 운영된다.

폭염에 취약한 독거 어르신, 거리 노숙인, 만성질환자 등을 위한 보호 대책도 꼼꼼히 추진하고 있다. 독거노인 1500여명 및 방문건강관리 대상자 4000여명을 대상으로 안부 확인, 건강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10개의 안전숙소와 142개의 무더위쉼터를 마련해 휴식공간을 제공한다. 폭염에 노출되기 쉬운 야외근로자를 대상으로는 휴식시간 보장, 탄력 근무제 운영, 냉방물품 지급 등 다양한 보호조치를 시행한다.


노원구는 폭염 피해 최소화를 위해 ‘4대 폭염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선제적으로 대응에 나서고 있다.

구의 대표적인 폭염 대응 사업인 ‘힐링냉장고’는 하천변, 산책로 등 유동 인구가 많은 곳에 설치됐다. 올해는 지난해보다 3곳 더 늘려 총 18곳에서 운영된다. 지난해에는 하루 평균 5만3000여 개, 총 180만여 개의 생수가 제공됐다.


어르신·장애인 등 폭염 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무더위 쉼터와 인근 숙박업소 협약을 통한 고령자 등 취약계층 야간 무더위쉼터도 운영한다.


자치구 관계자는 “폭염이 일상화된 만큼, 취약계층 보호와 도심 온도 저감 등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주민들도 폭염특보 시 외부 활동을 자제하고, 무더위쉼터 등 안전시설을 적극 활용해달라”고 당부했다.





김민진 기자 ent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