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쾡이가 전수했다는 전설의 술 '추성주'…전남 7월 전통주 선정

1천년 역사 사찰선 상비약 활용
대한민국식품명인이 되살려 내

추성주 세트. 전남도 제공

추성주 세트. 전남도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

전라남도는 7월을 대표하는 전통주로 살쾡이가 비법을 전수해줬다는 전설이 있는 담양 추성고을(대표 양대수)의 '추성주'를 선정했다.


추성주는 담양 연동사에서 유래한 약술로, 1천 년 가까운 역사를 자랑하는 전통주다.

불가의 상비약이자 도가의 신선주로 전해졌던 이 술은 조선 후기 연동사 주지 스님으로부터 '주방문(酒方文)'을 전해 받은 양대수 명인의 증조부에 의해 가문에 전해졌다.


하지만 일제강점기와 가양주 금지, 선친 때의 술 제조 전승 단절로 추성주의 명맥은 점차 희미해졌다.


단절된 맥을 다시 잇고 복원한 인물이 바로 대한민국 식품명인 제22호 양대수 명인. 양대수 명인은 전해 내려온 주방문을 바탕으로 약재 처리부터 발효, 증류까지 전통 양조법을 독학으로 익히며 추성주를 되살렸다. 무려 4년간 시행착오 끝에, 마을 어르신으로부터 '기억 속 그 맛'이라는 인정을 받은 일화는 추성주의 진정한 가치를 보여준다.

추성주는 누룩과 쌀, 구기자, 오미자 등 10여 종의 한약재를 사용해 정성껏 빚은 뒤 25~30℃에서 10~12일간 발효하고, 숙성과 여과 과정을 거쳐 완성된다.


또 다른 전통주와 다르게 6~7%만의 누룩을 사용하고, 엿기름을 넣어 발효하기 때문에, 25도의 알코올 도수에도 불구하고 부드럽고, 은은한 단맛이 어우러져 독하지 않다.


박상미 전남도 농식품유통과장은 "추성주는 전통의 가치를 지키면서도 현대인의 입맛과 감성에 맞춘 귀한 술이다"며 "앞으로도 전남의 우수한 전통주를 지속 발굴·홍보해 지역브랜드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호남취재본부 심진석 기자 mour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