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 엑스알피(XRP·리플) 발행사인 리플랩스가 미국 연방 당국인 통화감독청(OCC)에 은행업 인가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브래드 갈링하우스 리플랩스 최고경영자(CEO)는 2일(현지시간)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리플이 OCC에 국내 은행 인가(national bank charter)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이어 "승인되면 우리는 주(州)와 연방 감독을 모두 받게 된다. 이는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 신뢰를 확보하기 위한 새롭고도 독보적인 기준이 될 것"이라고 했다.
또 갈링하우스 CEO는 자회사인 '스탠더드 커스터디 앤드 트러스트 컴퍼니'를 통해 연방준비제도 마스터(Federal Reserve master) 계좌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리플이 발행하는 스테이블코인 'RLUSD'의 준비금을 연방준비제도(Fed)와 함께 직접 보관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갈링하우스 CEO는 "2500억달러(약 340조원)가 넘는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 RLUSD는 규제를 최우선에 둠으로써 기관들이 기대하는 기준을 제시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고 강조했다.
리플의 이 같은 행보는 자사의 스테이블코인이 연방 당국의 규제 및 감독을 받는다는 점을 부각해 투자자들로부터 신뢰를 확보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리플의 RLUSD는 이미 뉴욕주의 감독을 받고 있지만, 연방 당국의 은행 인가가 이뤄지면 한층 더 안전하다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아울러 미 의회 통과를 앞둔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Genius Act)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의 은행 인가를 필수 요건으로 규정하고 있다.
스테이블코인은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미국 달러화 등 특정 자산에 가치를 고정한 가상화폐다. 미 당국은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들이 미 국채와 같은 안전자산을 담보로 갖고 있도록 요구한다.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환전 절차 없이 빠르고 저렴하게 국경 간 달러가 이동하면서 관련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날 리플의 연방 은행 인가 신청 소식을 전하면서 "리플이 주류 금융권의 경계를 넘어서려는 가상화폐 기업들의 움직임에 동참했다"고 평가했다.
WSJ에 따르면 현재 미국에서 연방 은행 인가를 보유한 디지털 화폐 관련 기업은 가상화폐 보관업체인 '앵커리지 디지털'이 유일하다.
한편 지난달 뉴욕증시에 상장한 서클은 은행 인가를 신청해 놓은 상태다. 가상화폐 정보업체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서클은 시가총액 620억달러 규모의 스테이블코인 2위(USDC) 발행사다. 리플이 지난해 말 출시한 RLUSD의 시총은 4억6900만달러 수준이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