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파생결합증권 발행액 16조…"ELS 수요 회복"

금감원, 1분기 증권회사 파생결합증권 발행·운용 현황 발표
"해외투자 관심 확대 및 금리 하락 영향으로 수요 확대"

올해 1분기 파생결합증권 발행액이 16조원에 달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3조원 가까이 증가했다. 해외투자 관심 확대 및 금리 하락에 따라 ELS 투자수요가 회복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올해 1분기 파생결합증권 발행액 16조…"ELS 수요 회복" 원본보기 아이콘

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1분기 파생결합증권 발행액은 15조8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조8000억원 증가했다. 상환액은 11조5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조2000억원 줄었다. 3월 말 기준 잔액은 84조6000억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3.0조원 늘었다.


상품 유형별로는 주가연계증권(ELS) 발행액이 10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1% 증가했다. 금리 하락과 해외 투자 관심 증가로 투자수요가 일부 회복된 영향이다. 공모 비중은 83.7%였고, 원금지급형은 51.7%를 차지했다.

기초자산별로는 지수형(53.6%)과 종목형(42.2%) 중심으로 발행됐다. 가장 많이 사용된 기초자산은 KOSPI200(4조1000억원), S&P500(3조7000억원), EuroStoxx50(3조4000억원) 등의 순이다.


ELS 상환액은 7조4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조원 줄었다. 이는 H지수 사태 이후 발행이 축소되며 조기상환이 줄었기 때문이다. 잔액은 53조1000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1조4000억원 증가했다.


기타연계증권(DLS)도 발행이 확대됐다. 1분기 5조9000억원이 발행돼 전년 동기 대비 9000억원 늘었다. 이중 원금지급형 발행액은 5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000억원 증가했다. 주요 기초자산은 금리가 4조5000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신용(7000억원), 환율(5000억원) 순이었다. 상환액은 4조1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000억원 증가했다.

또 발행잔액은 31조5000억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1조6000억원 늘었다. 이 중 원금지급형 발행잔액은 25조2000억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1조5000억원 증가했다.


1분기 ELS 투자손익률은 연 5.7%로 전년 동기보다 14.4%P 증가하며 손실에서 이익으로 전환됐다. DLS는 연 4.6% 수익률을 기록했다. 증권사들의 파생결합증권 관련 손익도 2260억원으로 전년보다 1795억원 늘었다.


올해 3월 말 기준 녹인(Knock-In) 발생 상품은 전체 파생결합증권의 0.4% 수준으로 낮아졌다. 작년 중 H지수 기초 ELS가 대부분 상환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유현석 기자 guspow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