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풍력 중장기 로드맵 제시해야…해외 기업과의 협업도 필요"

'2025 해상풍력공급망 컨퍼런스·전시회' 열려
10년 이상 계획으로 투자 불확실성 해소해야
해외 대형 터빈사, 합작법인· OEM 유도 제안

2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2025 해상풍력 공급망 컨퍼런스'의 부대 행사인 '해상풍력 산업 육성을 위한 종합 체계 구축방안' 컨퍼런스에서 패널들이 토론하고 있다. 강희종 기자

2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2025 해상풍력 공급망 컨퍼런스'의 부대 행사인 '해상풍력 산업 육성을 위한 종합 체계 구축방안' 컨퍼런스에서 패널들이 토론하고 있다. 강희종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국내 해상풍력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정부가 10년 이상 장기적인 공급 계획을 제시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당장 국산화가 어려운 10메가와트(㎿) 이상 터빈에 대해서는 외국 개발사의 국내 생산을 유도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2일 한국 한국풍력산업협회가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한 '2025 해상풍력 공급망 컨퍼런스·전시회'에서 김범석 제주대학교 풍력공학부 교수는 "현재 산업통상자원부의 풍력 시장 입찰 물량은 2026년 상반기까지만 나와 있다"며 "정부의 전력수급기본계획과 연동해 최소한 2030년까지의 로드맵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해상풍력 공급망 기업이나 발전사업자들이 국내 해상풍력 시장에 투자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중장기 로드맵을 통해 시장의 불확실성을 해소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은성 ㈔넥스트 부대표도 "공급망 기업들이 시장에 대한 확신을 갖도록 정부가 10년 이상 장기 로드맵을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8월 2026년 상반기까지 7~8기가와트(GW)의 용량에 대해 경쟁입찰을 실시한다는 내용의 경쟁입찰 로드맵을 제시했다. 하지만 2026년 하반기 이후 입찰 계획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2030년까지 18.3GW의 풍력발전을 보급해야 하지만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세부 계획이 아직 제시되지 않은 상태다.


이와 관련해 이날 김윤성 에너지와공간 대표는 "국내 공급망 기업들에 투자에 대한 확신을 심어주기 위해서는 연간 2.5GW 이상의 입찰 물량이 꾸준히 나와주어야 한다"고 말했다. 성진기 풍력산업협회 상근 부회장은 "정부의 세밀하고 면밀한 계획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당장 국산화가 어려운 대형 해상풍력 터빈에 대해서는 해외 터빈사와의 협업을 통해 국산 부품 및 기자재의 육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주를 이루었다. 터빈은 해상풍력 공급망의 약 30%를 차지하며 하부 구조물, 설치 선박 등 다른 공급망에도 영향을 미치는 핵심 공급망이다.


김범석 교수는 "자체 터빈이 없는 일본의 경우 미국 GE버노바의 공장을 유치하면서 자국 내 기업과 기술 협력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풍력발전 설비의 국산화를 추진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두산에너빌리티와 유니슨을 중심에 두되 10㎿ 이상 터빈에 대해서는 해외 제작사와의 협업을 통해 국내 공급망을 육성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국내 터빈 제조사인 두산에너빌리티와 유니슨은 현재 8㎿급 터빈까지 상용화한 상태이며 10㎿급 터빈을 개발, 실증하고 있다. 이에 비해 유럽과 중국 기업들은 15㎿급을 상용화했으며 20㎿급 이상 최대형 터빈도 개발중이다. 국내 해상풍력 시장에서 규모의 경제를 위해서는 12~15㎿급 터빈의 설치가 필요하다.


김은성 부대표는 "지금부터 개발해도 15㎿급 대형 풍력터빈을 개발하는데 6년의 시간이 필요하다"며 "부족한 대형 터빈은 해외 터빈 기업과의 합작법인 설립이나 주문자상표부착(OEM) 방식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해상풍력 공급망의 국산화를 위해 발전 공기업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의견도 개진됐다. 이슬기 산업연구원 신성장동력연구실 연구위원은 "발전 공기업의 투자 불확실성을 낮추기 위해서는 공기업경영평가 항목 개선,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등의 정책적 지원과 함께 국산 기자재 적용 시 금융 지원을 확대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희종 에너지 스페셜리스트 mindl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