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韓기업 신용등급 전망 악화...4대 구조적 변화 직면"

국제 신용평가사 S&P는 한국 주요 기업들의 올해 신용등급 전망이 중국발 공급과잉 등 구조적 변화로 인해 전년 대비 악화했다고 2일 밝혔다.


박준홍 S&P 글로벌 레이팅스 상무는 이날 서울 명동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한국 기업들은 미국의 관세정책, 전기차 전환 수요 둔화, 공급과잉, 인공지능(AI)의 빠른 성장 등 4대 구조적 변화에 직면해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올해 6월을 기준으로 S&P가 평가하는 국내 기업 39개사의 등급 전망에서 '부정적'은 15%를 차지하며 전년(8%) 대비 두 배 가까이 확대됐다. '안정적'은 85%로 2%포인트 감소했다. '긍정적' 전망은 1년 전 5%를 나타냈으나 올해는 단 한 곳도 없었다. 이는 신용등급이 오를 것으로 예상되는 기업이 없다는 뜻이다.


특히 등급 전망이 '부정적'으로 평가된 기업은 주로 중국발 과잉공급 리스크에 직면한 석유화학 업종에 집중됐다고 S&P는 지적했다. 박 상무는 "한국의 석유화학 기업이 범용 제품을 많이 생산하고 있는 만큼 원가 경쟁력이 높은 중국 기업과 경쟁이 쉽지는 않은 상황이다. 산업 전반적으로 구조조정의 가능성이 커 보인다"고 평가했다.


중국발 과잉공급과 함께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에 따른 무역 갈등, 전기차 전환 수요의 둔화, AI의 빠른 성장 등도 한국 기업의 신용전망에 부담이 되고 있는 것으로 꼽혔다. 박 상무는 이를 4대 구조적 변화로 꼽으며 향후 1~2년간 많은 섹터가 수익성 압박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같은 날 김대현 S&P 상무는 최근 급증한 가계 부채와 양극화한 부동산 시장이 한국의 금융 산업에 위험 요소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향후 내수와 관련한 중소기업과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부채 리스크가 커질 수도 있다"며 "국내 내수 관련 노출이 많은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건전성이 악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