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기획위원회는 2일 "각 대통령 후보를 낸 정당과 민주당과 연합했던 정당들에게 공통공약, 정책제안들을 받아 분석해 보니 총 246개의 대선공약 중에서 47% 정도에 해당하는 116개 공약이 유사하거나 부분적으로 일치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조승래 국정기획위 대변인은 이날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창성동 별관에서 브리핑을 통해 "공통공약은 국정과제에 반영해 협치를 통해 추진할 수 있게 하겠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공통공약에는 인공지능(AI) 산업과 관련해 차세대 첨단 기술 개발 투자를 강화하고 세계 최고의 AI 인프라 구축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공약, 소상공인 금융부담 완화 등의 공약이 포함된다고 조 대변인은 설명했다.
또 이차전지 등 첨단 전략산업 혁신 생태계 조성, 벤처투자 시장 육성, 군 장병 복무여건 개선 등에서도 여야의 공약이 상당 부분 일치한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한주 국정기획위원장은 이날 오전 조국혁신당 원내대표단을 접견해 정책제안서를 전달받았고, 이 역시 여야 공통공약을 매개로 한 협치 모델을 만들어 나가는 데 활용할 계획이라고 조 대변인은 전했다.
이날로 예정됐던 검찰청 업무보고가 무기한 연기된 이유에 대해선 "심우정 검찰총장 사퇴를 포함한 인사 요인이 발생하는 등 검찰 내부에서 복잡한 상황이 전개돼 보고받을 상황이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정부 조직개편 문제에 대해선 "기재부에서 예산 기능을 분리하거나 검찰 기능 중 수사·기소 분리에 대해서는 공약의 방향이 명확하지 않나"라며 "이를 구체화하기 위한 방법론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다양한 옵션이 있어 계속 논의 중이며, 확정적으로 말씀드릴 수 있는 사안은 없다"고 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