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대 폭염 일수와 열대야 일수가 1970년 대비 각 1.7배, 2.1배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2일 기상청에 따르면 1973∼2024년 연간 폭염 일수와 열대야 일수를 분석한 결과 폭염 및 열대야 일수는 2000년대까지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대폭 상승했다.
1970년대 대비 2010년대 폭염일수는 평균 8.3일에서 14.0일로 1.7배, 열대야 일수는 평균 4.2일에서 9.0일로 2.1배 늘었다. 2020년대의 경우 각 16.7일, 12.9일로 2010년대보다 더 증가했다.
최근 10년(2015∼2024년)을 기준으로 하면 폭염 일수와 열대야 일수는 각 16.3일, 11.0일로 평년(1991∼2020년)보다 5.3일, 4.4일 많다.
열대야는 주로 7∼8월에 발생했고, 2010년대 이후 8월에 가장 큰 증가 폭을 나타냈다. 여름이 길고 더웠던 2024년, 2018년, 1994년이 폭염일수와 열대야 일수에서 모두 1∼3위를 기록했다.
폭염 1위는 2018년 31.0일이고, 2위는 지난해 30.1일이다. 2024년이 24.5일로, 2위인 1994년 16.8일과 비교해 압도적으로 많다. 열대야 일수도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2001∼2010년 13.6일, 2011∼2020년 19.7일, 2021∼2024년 28일로 집계됐다.
최근 10년 평균 연간 폭염 일수는 밀양(33.6일), 대구(33.4일), 의성(32.6일) 등 경상도 내륙 중심으로 많았다. 열대야 일수는 제주도(제주 45.3일·서귀포 37.6일), 여수(30.0일), 목포(28.2일), 포항(27.7일), 부산(27.2일) 등으로 나타났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