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브버그, 스펀지밥처럼 만들자"…갑작스런 제안에 누리꾼 반응은?

화학적 방제 '최후의 수단'으로 언급
'스펀지밥' 캐릭터 언급에 콘텐츠 개발 제안

수도권에서 기승을 부리는 '붉은등우단털파리(러브 버그)'로 시민 불편과 불만의 목소리가 커진 가운데, 러브 버그의 환경 유익성 등을 알리는 콘텐츠의 개발 필요성을 언급한 보고서가 여름을 앞두고 나온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 1일 다수의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서울시가 내놓은 러브 버그 대책안'이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해당 글에는 지난 4월께 서울시 산하 서울연구원은 '서울시 유행성 도시 해충 확산 실태와 대응 방안' 보고서의 내용이 담겼다.

러브 버그와 스펀지 밥. 온라인 커뮤니티

러브 버그와 스펀지 밥. 온라인 커뮤니티

원본보기 아이콘

먼저 해당 보고서에서 연구원은 서울시만의 통합해충 관리 시스템 구축 필요성을 제기했다고 설명했다. 이 보고서는 기존의 질병 매개 해충 위주 관리 시스템에서 벗어나 '대발생' 종이나 해외유입으로 개체 수가 증가하는 경우를 포함한 '관리 대상 해충 범위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러브 버그와 같이 도시에서 이상증식 현상을 보인 해충을 통칭하는 용어가 없다며, '유행성 도시 해충'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고 도입부에서 설명했다.


예방 중심의 '선제 대응' 대목에서 보고서는 "유행성 도시 해충은 민원 분석과 설문조사 결과, 특정 자치구에서 주로 발생하는 추이를 보였다"며 "발생 빈도가 높은 지역을 고위험 지역으로 지정해 집중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체계적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국외 기관이 통합해충 관리 기본 개념으로 '화학물질 사용 최소화'를 핵심 원칙으로 강조하는 점을 꼽아 보고서는 비화학 방제를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면서 화학적 방제는 '최후의 수단'이 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화학적 방제를 실시해도 식물성 오일이나 천연 성분을 기반으로 한 방제 방안의 활용, 최소 용량의 살충제 사용을 권고했다.

는 '러브버그'를 퇴치하기 위한 집중 방역을 실시하는 모습. 연합뉴스

는 '러브버그'를 퇴치하기 위한 집중 방역을 실시하는 모습.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이 가운데, 서울시 홈페이지의 해충 정보가 체계적으로 구축되지 않아 시민들의 정보 접근이 어렵다고 지적한 보고서는 '홍보 방안의 재정비' 단락에서 "곤충을 소재로 한 흥미로운 스토리텔링과 재미 요소가 결합한 콘텐츠가 민간 참여와 함께 활성화한다면, 생태계와 곤충에 대한 자연스러운 교육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대표 사례로 보고서는 미국의 유명 애니메이션 '네모바지 스펀지밥'을 들었다. 바다생물을 좋아해 해양학을 전공한 해양생물학자이자 애니메이션을 공부한 작가 스티븐 힐렌버그가 해양생물의 특성을 스펀지밥 등장 캐릭터에 유사하게 반영했다면서다. 재미와 교육적 요소를 효과적으로 결합함으로써 보는 이가 자연스럽게 해양 생물 지식을 쉽게 습득할 수 있다는 논지다. 이 대목에서 보고서는 러브 버그 등이 인간에 무해하다는 점을 강조하는 콘텐츠의 개발을 언급했다.


그러나 러브 버그 등의 캐릭터 홍보를 두고 누리꾼 사이서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누리꾼은 "러브 버그가 어떻게 스폰지밥으로 이어지는지 사고 구조가 궁금하다", "시민들은 러브 버그 때문에 스트레스받는데, 저걸 캐릭터로 만든다고? 대체 누구 좋아하라고", "어디선가 러브 버그를 자꾸 익충이라고 하는데, 이 정도로 사람한테 불편을 주면 그게 바로 해충이지" 등의 반응을 보였다. 반면 일부 누리꾼은 "무당벌레를 모티브로 만든 레이디 버그란 애니메이션처럼 러브 버그도 캐릭터나 콘텐츠 잘 만들면 생각보다 괜찮을 거 같다", "홍보 방안 측면에서 연구의 일환으로 콘텐츠 제안한 거 같은데, 너무 심각하게 받아들일 필요는 없을 듯" 등의 의견도 있었다.

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러브 버그가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양산을 점령하다시피 한 광경 등이 화제가 되고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

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러브 버그가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양산을 점령하다시피 한 광경 등이 화제가 되고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

원본보기 아이콘

한편, 중국 동남부나 일본 오키나와에 주로 서식하던 러브 버그는 2022년께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국내에서 대량 발견되기 시작했다. 토양 환경을 정화하고 꽃의 수분을 도와 '익충'으로 분류된다. 초여름인 6~7월 개체 수가 급증했다가 2주가량이 지나면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왔다.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러브 버그가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양산을 점령하다시피 한 광경 등이 화제가 되고 있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