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오후 서울 여의나루역 인근 한강공원. 가만히 서 있기만 해도 땀이 뚝뚝 흐르는 날씨에도 불구하고 시민 100명이 모였다. 이날 처음 체험 기회가 열린 '한강버스'를 타기 위해서다. 유모차를 탄 어린아이부터, 임신한 신혼부부, 중년까지 다양한 연령층의 시민들은 모두 기대 섞인 미소를 띠고 있었다. 한강버스가 선착장을 본격적으로 출발하자 승객들은 '파노라마 창' 밖으로 보이는 한강 다리, 63빌딩 등 명소를 배경으로 연신 기념사진을 찍었다.
한강버스는 올해 하반기 본격적으로 운항하게 될 서울시의 새로운 수상 교통수단이다. 마곡-망원-여의도-옥수-압구정-뚝섬-잠실 총 7개 선착장을 오간다. 이날은 시민과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체험 운항 첫 날으로, 여의도에서 뚝섬까지 40분, 뚝섬에서 잠실까지는 10분가량 소요됐다.
시민들은 막히는 도로와 달리 뻥 뚫린 한강에서 이동할 수 있는 점을 장점으로 꼽았다. 의정부에서 온 이지후(11)군은 "버스는 도로 위에 다녀서 멈추는데, 한강버스는 한강 위를 달려서 멈추지 않아 좋다"고 말했다. 나중에 부모님과 한강에 오게 되면 또 타볼 만 한 것 같다"고 말했다. 아내와 함께 탑승한 최인현(34)씨는 "시내 풍경을 광활하게 볼 수 있는 것이 좋고, 앞에 막혀 있는 차도 없어 불편함이 없다"며 출퇴근 시 이용 의사가 있다고 했다.
다만 임산부의 이용 편의를 높였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있었다. 최씨와 동승한 아내 김경미(38)씨는 "지금은 시승이라 사람이 적어 괜찮지만, 나중에는 손님이 많아질 것 같은데, 임산부를 위한 좌석이 따로 마련되면 좋겠다"고 전했다.
승객들이 공통으로 지적한 부분도 있다. 기온이 32도까지 올라 날씨가 무덥기도 했지만, 에어컨을 여러 대 가동해도 객실 내부가 시원하지 않았다. 한강버스 안내용 책자로 부채질을 하거나, 천장형 에어컨 바로 밑에 가 서 있는 승객들이 눈에 띄었다. 외부보다 온도가 낮기는 했지만, 운항하는 1시간 내내 땀이 삐질삐질 흘렀다.
입출항 시 배터리를 사용하다가 본격 주행 시점에 발전기를 동력원으로 전환하면서 소음이 발생하기도 했다. 한강버스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으로 리튬이온 배터리와 디젤 발전기를 동력원으로 삼는다. 배가 출항한 뒤 "현 시간부로 배터리 모드에서 발전기 모드로 변환합니다. 다소 소음이 발생하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라는 선내 안내가 나오자 배의 중·후미에서 웅웅 거리는 소음과 진동이 느껴졌다. 소통에 문제는 없지만, 일정 수준 이상 목소리를 높여야 했다.
이에 대해 시 미래한강본부 관계자는 "현재 실외기 하나에 에어컨이 2개씩 연결돼 있는 등 냉방 효율이 떨어지는데, 시민 체험 피드백을 받고 효율을 높이기 위한 작업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 소음에 대해서는 "배의 높이를 높이면 발전기 소음을 줄일 수 있지만, 잠수교 때문에 마냥 높이를 키울 수 없는 문제가 있다"며 "소음 관련 지적을 받은 뒤 발전기실 안에 흡음재를 설치하는 등 데시벨을 낮추는 조치를 했다"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