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외교, 전문부처 중심으로"…과학인들 국정기획위에 건의

AI·양자 등 핵심기술 외교, 전문성 갖춘 부처가 주도해야
범부처 협업·지속가능한 국제협력 위한 법적 기반 필요

연합뉴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이재명 정부의 인수위원회 역할을 하는 국정기획위원회가 1일 '과학기술외교 정책 간담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 참석한 과학기술인들은 과학기술외교를 과학기술 전문부처 중심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기술주권 확보를 위해서는 전문성과 일관성을 갖춘 외교 체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날 간담회는 국정기획위 경제2분과 인공지능(AI)·과학기술·우주항공방위산업소위 주관으로 열렸다. 황정아 위원을 비롯한 기획·전문위원과 과학기술계 민간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과학기술 국제협력 분야에서는 구본경 기초과학연구원(IBS) 단장, 김명주 인공지능(AI)안전연구소 소장, 한상욱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양자정보연구단장 등이, 과학기술외교 분야에서는 오태석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원장, 박찬수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부원장, 이재훈 성신여대 교수, 박재민 건국대 교수 등이 참여했다.


참석자들은 인공지능, 양자, 바이오 등 핵심 원천기술 분야에서의 국제협력 강화를 위해 민·관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는 과학기술 전문부처 중심의 과학기술외교 체계를 통해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또한, 지속 가능한 국제협력을 위한 법적 기반 마련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과학기술외교의 전략성을 확보하기 위해 관련 법률 제정과 범부처·전문기관·연구기관 간 협업이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참석자들은 우리나라가 과학기술 분야에서 국제적 영향력을 확보하기 위해, 국제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방식으로 외교 의제를 선도하고 G20, 세계은행 등 국제무대에서 주도권을 확보해야 한다고 했다.


국정기획위 경제2분과 이춘석 위원장은 "이재명 정부는 과학기술 국제협력의 범부처 전략 수립과 법적 기반 마련을 대선 공약으로 제시한 바 있다"며 "오늘 논의된 내용이 국정과제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