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차를 똑같이 만든 시뮬레이션 모형 '검증 벅'에 올라 목적지 '판교테크노밸리'를 선택하자 벽면에 현실 도로를 반영한 주행 풍경이 떴다. 방향지시등 켜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면서 가상 운전을 하면, 고객이 기기를 이용하는 동작과 디스플레이에 향하는 시선의 움직임 등을 실시간 데이터로 수집한다.
현대자동차그룹의 'UX 스튜디오 서울' 1층 UX 테스트 존에서 가이드가 검증 벅에 탑승해 가상현실(VR) 기기 쓰고 차량에 적용된 UX를 경험하고 있다. 노경조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현대자동차그룹의 미래 모빌리티 기술을 가까이서 만날 수 있는 공간이 서울 강남대로변에 생겼다. 현대차그룹이 세계 최초로 만든 고객 참여형 연구 공간인 'UX 스튜디오 서울'이 주인공이다. 현대차·기아 소유주가 아니어도 오다가다 들러 체험하고 후기를 남길 수 있다.
지난 1일 찾은 UX 스튜디오 서울은 현대차 강남대로 사옥 1~2층에 통유리 구조로 꾸며져 행인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입구에 들어서자 현대차그룹의 미국 로봇 자회사인 보스턴다이내믹스가 개발한 4족 보행 로봇개 '스팟(Spot)'이 가장 먼저 반겼다.
1층은 전시 콘텐츠를 체험하고 설문에 참여할 수 있는 '오픈랩'으로, 크게 3개 존으로 구성됐다. 우선 UX 테스트 존에서는 현대차·기아의 UX 콘셉트가 어떻게 개발되고 구현·검증되는지를 경험한다.
이곳에서는 도어, 시트, 무빙 콘솔 등 다양한 UX 콘셉트가 반영된 소규모 모형뿐만 아니라 실제 크기의 '스터디 벅'(차량 개발 과정에서 사용성 검증 등을 목적으로 사전에 제작하는 실험용 모형)에 직접 탑승해 조작하는 것이 가능했다. 나아가 검증 벅에서 가상현실(VR) 기기를 통해 차량에 적용된 UX를 몰입감 있게 경험할 수 있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검증 벅을 통해 디스플레이 높이는 어느 정도가 적정한지, 내비게이션에 차선 변경 계획 표시는 카펫 궤적과 목표 지점 사각박스 중 어느 방식이 더 보기 편한지 등을 실험한다"며 "기능 동작과 시선 분산에 따른 사용성 지표를 도출하고 테스트 결과를 검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벽면 오른쪽으로는 핵심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기술들을 체험할 수 있는 SDV(소프트웨어 중심 차량) 존이 마련됐다. 이곳에는 지난 3월 열린 개발자 콘퍼런스 '플레오스(Pleos) 25'에서 최초 공개된 '전기·전자(E&E) 아키텍처'가 설치돼 있었다.
특히 눈길을 끈 건 음성 어시스턴트 '글레오 인공지능(Gleo AI)'이었다. 현대차그룹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인 '플레오스 커넥트(Pleos Connect)' 시스템의 한 유형인 Gleo AI는 창문을 여닫는 지시 수행이나 날씨와 같은 단순 정보 제공을 넘어 출근길을 달래주는 감성도 발휘했다.
뒤이어 UX 아카이브 존에서 현대차?기아의 사용자 경험 변천사를 살핀 뒤 계단을 올랐다. 2층 '어드밴스드 리서치 랩'은 현대차·기아 연구원들과 사전 모집된 사용자들이 UX 연구를 수행해 입장이 제한된다. UX 캔버스 및 피쳐 개발 룸, 시뮬레이션 룸, UX 라운지 및 차량 전시 룸으로 이뤄졌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2층에서는 다양한 아이디어를 내는 워크숍을 진행하거나 자율주행 UX, 고성능 차량 UX 등 분야별 세분된 연구를 진행한다"며 "시뮬레이션 룸 역시 상시 개방되지 않는 연구 전용 공간으로, 개발한 UX 콘셉트를 가상 환경에서 검증한다"고 말했다.
시뮬레이션 룸 내부는 6축 모션 시뮬레이터, 730개의 발광다이오드(LED) 모듈로 구현한 시야각 191도의 대형 커브드 디스플레이를 갖췄다. 실제 운전하는 것과 유사한 평가 환경을 연출해 UX 콘셉트가 주행 시 어떤 사용성을 보이는지, 개선 사항은 무엇인지 데이터를 기반으로 세밀하게 확인한다.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는 서울과 미국 샌프란시스코, 인도 델리 등 전 세계 주요 도시의 실제 지도를 기반으로 가상 환경이 구현해 실감을 더했다. 날씨나 계절을 바꿀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선택한 차종에 맞춰 운전대 높이, 좌석 간격 등이 달라졌다. 운전자의 주행 데이터는 테스트 벅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와 센서를 통해 취득하고, 이후 데이터베이스에 모두 저장하는 구조다.
현대차그룹은 "내년에는 프라이빗하게 운영 중인 중국 상하이 소재 UX 스튜디오를 개방형으로 바꾸려고 한다"며 "누적된 사용자 데이터를 UX 연구 과정에 적극 활용하고, 이를 기반으로 혁신적인 모빌리티 경험을 지속 개발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