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이 관세 부과로 거둬들인 수입이 1000억달러를 넘었다고 미 매체 악시오스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세관국경보호국(CBP) 자료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올해 1월20일부터 지난달 27일까지 관세 수입은 1061억달러(약 143조2562억원)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815억달러는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후 부과한 관세로부터 발생한 수입이었다. 관세 수입은 국경에서 걷는 모든 수입을 뜻하며, 이 중 관세는 수입품에 붙는 세금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9일 한국을 포함한 57개 경제주체(56개국+유럽연합)에 차등화된 상호관세를 발효했다. 이후 13시간에 기존 결정을 뒤집고 이를 90일간 유예하기로 결정했다. 이달 8일이면 유예 기간이 종료된다.
재무부 자료에 나타난 회계연도 기준 올해 5월 말까지의 관세 수입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65% 늘었다. 이 같은 추세를 고려하면 올해 연간 관세 수입은 정부 예상치를 뛰어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 제조업 담당 고문은 미국의 한해 관세수입이 최소 3000억 달러에서 최대 6000억달러에 이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
미 예일대 예산연구소에 따르면 현재 미국의 실효 관세율은 15.6%다. 이는 1930년대 후반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1930년대는 미국에 대공황이 닥쳤던 시기로, 당시 미국은 스무트-홀리 관세법을 도입해 실효관세율이 20% 이상 뛰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