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10곳 중 8곳, 하반기 투자 상반기 수준 유지"

한경협 하반기 투자계획 조사
새 정부 정책 변화 기대감
세제지원·보조금 확대 요구

국제정세와 경제 여건의 불확실성이 고조된 상황에서도 대기업 10곳 중 8곳은 올해 하반기에 상반기 수준의 투자를 집행할 것으로 조사됐다.


"대기업 10곳 중 8곳, 하반기 투자 상반기 수준 유지" 원본보기 아이콘

한국경제인협회는 2일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하반기 투자계획 조사(120개사 응답)'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조사 결과, 응답 기업의 78.4%는 올해 하반기에 상반기와 비슷한 규모의 투자를 계획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반기 대비 투자 규모를 축소하겠다는 응답은 13.3%, 확대하겠다는 응답은 8.3%였다.


하반기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응답한 기업들은 신정부 출범에 따른 정책 변화 기대(20.0%)와 노후화된 기존 설비 교체·개선(20.0%)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으며 업사이클 진입 또는 업황 개선 기대(16.7%)가 뒤를 이었다.


반면 투자를 축소할 계획이라고 응답한 기업들은 그 이유로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2기 정책발 불확실성 확대(33.3%) ▲내수시장 침체 지속(25.0%) ▲고환율 등 외환 및 원자재가 상승 리스크(14.6%) 등을 지목했다.

한국경제인협회, 연합뉴스.

한국경제인협회,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한경협은 수출 불확실성 확대와 내수 부진 장기화로 최근 기업들이 신규 투자에 신중한 태도를 보여왔지만 하반기에는 새 정부의 경기 부양책과 업황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있어 상반기와 비슷한 규모의 투자를 집행하는 기업들이 다수인 것으로 풀이했다.


기업들은 하반기 투자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장 큰 리스크로 미·중 등 주요국의 경기 둔화(26.4%)를 꼽았다. 그 외 ▲글로벌 공급망 불안 심화(23.6%) ▲에너지·원자재 가격 상승(15.0%) ▲금융·자본시장 위축(14.2%) 등도 주요 위험 요인으로 지목됐다.


기업들은 국내 투자에 대한 애로 요인으로 ▲노동시장 규제 및 경직성(18.6%) ▲세금 및 각종 부담금 부담(18.1%) ▲입지, 인허가 등 투자 관련 규제(16.9%) ▲전력 등 에너지 비용 부담(14.2%) 등을 꼽았다.


한경협은 기업들이 국내 투자를 결정 및 집행하는 데 있어 세금과 규제에 대한 부담을 가장 크게 느낀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기업들은 국내 투자 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로 ▲세제지원·보조금 확대(27.5%) ▲내수경기 활성화(15.3%) ▲신산업 진입 규제 및 투자 관련 규제 완화(11.9%)를 꼽았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우리 경제가 직면한 저성장을 타개하려면 기업들의 적극적·모험적 투자를 토대로 한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이 필요하다"며 "인공지능(AI)·바이오·컬처 등 미래산업에 대한 세제·금융지원을 강화하고, 규제 시스템을 네거티브로 과감하게 전환해 새로운 산업 분야에 대한 기업들의 투자 유인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준이 기자 giv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